‘더현대 광주’ 착공…옛 전방·일신 방직터에 복합쇼핑몰
2025년 11월 20일(목) 19:20 가가
‘도시이용 인구 3000만 시대’ 목표
지역상권 연계 로컬 브랜드 입점
지역상권 연계 로컬 브랜드 입점


20일 오후 ‘더현대 광주’ 착공식이 열린 광주시 북구 임동 복합쇼핑몰 부지에서 강기정 광주시장과 정지영 현대백화점 사장 등 주요 인사들이 복합쇼핑몰의 성공적인 건립을 기원하며 박수 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 도심 최대 유휴지였던 북구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가 복합쇼핑몰 ‘더현대 광주’ 착공으로 본격 개발에 들어간다.
총투자 1조2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인 더현대 광주 조성공사를 계기로 광주시는 ‘도시이용 인구 3000만 시대’를 목표로 상업·문화 허브 조성에 나선다.
현대백화점은 20일 광주시 북구 옛 전방·일신 방직터에서 ‘더현대 광주’ 착공식을 개최했다. 개점 목표는 2028년 상반기다.
착공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시민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기념사에서 “세계적 건축가의 설계와 최고 수준의 브랜드, 호남의 자연을 닮은 실내 정원, 전통시장에서 영감을 얻은 로컬 마켓을 결합해 글로벌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대규모 투자 결단에 감사한다”며 “복합쇼핑몰이 도심 유동인구를 크게 늘려 주변 상권에도 파급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기대했.
‘더현대 광주’는 옛 방직공장 부지를 문화·쇼핑·여가가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전환하는 도심 재생 프로젝트다.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상생발전협의회’를 본격 가동해 지역상권과 연계를 구상하고 있다.
협의회에는 광주시와 현대백화점, 상인·소상공인단체, 전문가가 참여해 상권영향평가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로컬 브랜드 입점, 전통시장과 교차 프로모션, 구매 포인트의 지역화폐 전환 같은 실질적 방안을 테이블에 올릴 계획이다.
그간 20여 차례 간담회 거쳐 수렴한 의견을 ‘더현대 광주’ 운영 기준에 반영해 고용·판로 확대 등 패키지로 묶어 추진한다는 것이다,
도시 차원의 파급효과도 적지 않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을 기점으로 도심 순환형 보행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하고, 문화행사와 야간경제를 엮는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도시이용인구 3000만’ 목표 달성을 위해 관광·MICE·콘텐츠 산업과 연계를 강화하고, 로컬 브랜드의 상업 생태계 진입로를 넓혀 청년 일자리와 창업 수요를 견인하겠다는 복안이다.
광주시는 인·허가 단축, 원스톱 행정지원 등으로 공정 리스크를 최소화해온 만큼, 공정 공개와 시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의 외형 성장에 그치지 않고 지역상권과의 동반성장을 전제로 한 지속가능 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시민이익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아 도시 전반의 활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총투자 1조2000억원 규모의 프로젝트인 더현대 광주 조성공사를 계기로 광주시는 ‘도시이용 인구 3000만 시대’를 목표로 상업·문화 허브 조성에 나선다.
착공식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시민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기념사에서 “세계적 건축가의 설계와 최고 수준의 브랜드, 호남의 자연을 닮은 실내 정원, 전통시장에서 영감을 얻은 로컬 마켓을 결합해 글로벌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대규모 투자 결단에 감사한다”며 “복합쇼핑몰이 도심 유동인구를 크게 늘려 주변 상권에도 파급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기대했.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상생발전협의회’를 본격 가동해 지역상권과 연계를 구상하고 있다.
그간 20여 차례 간담회 거쳐 수렴한 의견을 ‘더현대 광주’ 운영 기준에 반영해 고용·판로 확대 등 패키지로 묶어 추진한다는 것이다,
도시 차원의 파급효과도 적지 않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을 기점으로 도심 순환형 보행 네트워크와 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하고, 문화행사와 야간경제를 엮는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도입할 방침이다.
‘도시이용인구 3000만’ 목표 달성을 위해 관광·MICE·콘텐츠 산업과 연계를 강화하고, 로컬 브랜드의 상업 생태계 진입로를 넓혀 청년 일자리와 창업 수요를 견인하겠다는 복안이다.
광주시는 인·허가 단축, 원스톱 행정지원 등으로 공정 리스크를 최소화해온 만큼, 공정 공개와 시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복합쇼핑몰의 외형 성장에 그치지 않고 지역상권과의 동반성장을 전제로 한 지속가능 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시민이익을 최우선 원칙으로 삼아 도시 전반의 활력을 키우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