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양동복개상가 이전 검토
2025년 09월 09일(화) 20:15 가가
극한호우 때마다 범람 위기
256개 점포 상인들 ‘조마조마’
광주시, 복개 구간 철거 등
일정·방식·임시영업 대책 논의
256개 점포 상인들 ‘조마조마’
광주시, 복개 구간 철거 등
일정·방식·임시영업 대책 논의


1975년 조성돼 광주시 서구 양동시장을 대표하는 상권으로 자리매김한 양동복개상가 전경. 광주시는 집중호우로 범람 위험이 반복되자 치수 대책으로 양동복개상가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시가 광주천 태평교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광주의 대표상권인 양동복개상가 철거·이전 검토에 착수했다.
양동복개상가는 1971년 태평교 300여m를 시멘트로 덮은 공간에 1975년 조성된 상가로, 매년 집중호우 때마다 범람위기로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는 상습 재해 구역이다. 양동복개상가가 철거되면 자연하천 복원과 재해예방 두 토끼를 잡을 수 있지만, 이전부지 확보·예산, 주민협의 등 난제도 있다.
9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 물관리정책과와 경제정책과는 양동시장 복개구간 철거와 상가이전에 대한 의견 수렴 등 검토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시는 지난 7월 22일과 지난달 6일 복개상가 상인회사무실에서 의견을 청취했고, 광주천 복원 방향과 연계한 상가이전 배경·방식 등 설명했다. 시는 상인회 의견 등을 토대로 이전시기, 방식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양동복개상가는 대지 9962㎡, 연면적 1만8932㎡에 점포 256개로 단일 시장 중 점포 수가 가장 많다. 양동시장을 구성하는 7개 전통시장(양동시장·복개상가·닭전길 시장·수산 시장·건어물 시장·산업용품 시장·경열로 시장) 가운데서도 핵심상가로 꼽힌다. 이들 7개 시장을 합치면 점포 1080개, 대지면적만 8만6325㎡에 이른다.
하지만 광주에 집중호우가 발생할때 마다 양동시장 복개상가는 범람위기에 놓이고 있다.
지난 7월 17일 극한호우 때 태평교 인근에 대피령이 발령되고 광주천 수위가 교각 하부까지 차올랐다.
앞서 2020년 8월 7일에도 태평교 일대에서 범람 우려로 상인·주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경찰이 하부도로를 통제하는 등 비상 대응이 이뤄졌다.
시는 반복된 범람위기는에 태평교 구간 침수 취약 해소를 위해 양동복개상가 철거·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올해 집중호우 피해 이후 광주를 방문해 치수대책을 세우는 과정에서 복개구조물 정비와 하천 복원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전 검토는 광주천 복원화 논의와 맞물려 있다. 태평교 상류 낙차공 철거, 가동보 설치 등 과거의 범람 위험 저감 사업이 추진된 바 있고, 올해 기록적 호우 이후에는 복개구조물 처리 대안이 공개 의제로 다시 부상했다.
‘유속 저하로 범람 위험이 커진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복개구간 일부 철거와 하상 정비, 배수용량 확충을 묶은 패키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복개구간 철거와 전통시장 이전사업에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관건은 상인들의 동의를 이끌어내는냐다. 양동 일대는 시장별 상인회가 분리돼 품목과 고객 구성이 달라 이전 방식과 속도, 임시영업지 배치 선호가 엇갈릴 수 있다.
시는 설명회와 개별 면담을 병행해 현실적 대안을 도출하고, 법·보상 절차와 임시시장 운영, 재입점 우선권 기준을 순차 공개해 예측 가능한 일정을 제시할 방침이다.
아직 이전 대상지·방식·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광주시 관계자는 “아직 이전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이뤄진 단계는 아니다. 상인들의 목소리를 모두 듣고 최적의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양동복개상가는 1971년 태평교 300여m를 시멘트로 덮은 공간에 1975년 조성된 상가로, 매년 집중호우 때마다 범람위기로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는 상습 재해 구역이다. 양동복개상가가 철거되면 자연하천 복원과 재해예방 두 토끼를 잡을 수 있지만, 이전부지 확보·예산, 주민협의 등 난제도 있다.
시는 지난 7월 22일과 지난달 6일 복개상가 상인회사무실에서 의견을 청취했고, 광주천 복원 방향과 연계한 상가이전 배경·방식 등 설명했다. 시는 상인회 의견 등을 토대로 이전시기, 방식 등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지난 7월 17일 극한호우 때 태평교 인근에 대피령이 발령되고 광주천 수위가 교각 하부까지 차올랐다.
앞서 2020년 8월 7일에도 태평교 일대에서 범람 우려로 상인·주민 대피령이 내려졌고, 경찰이 하부도로를 통제하는 등 비상 대응이 이뤄졌다.
시는 반복된 범람위기는에 태평교 구간 침수 취약 해소를 위해 양동복개상가 철거·이전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올해 집중호우 피해 이후 광주를 방문해 치수대책을 세우는 과정에서 복개구조물 정비와 하천 복원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전 검토는 광주천 복원화 논의와 맞물려 있다. 태평교 상류 낙차공 철거, 가동보 설치 등 과거의 범람 위험 저감 사업이 추진된 바 있고, 올해 기록적 호우 이후에는 복개구조물 처리 대안이 공개 의제로 다시 부상했다.
‘유속 저하로 범람 위험이 커진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복개구간 일부 철거와 하상 정비, 배수용량 확충을 묶은 패키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복개구간 철거와 전통시장 이전사업에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관건은 상인들의 동의를 이끌어내는냐다. 양동 일대는 시장별 상인회가 분리돼 품목과 고객 구성이 달라 이전 방식과 속도, 임시영업지 배치 선호가 엇갈릴 수 있다.
시는 설명회와 개별 면담을 병행해 현실적 대안을 도출하고, 법·보상 절차와 임시시장 운영, 재입점 우선권 기준을 순차 공개해 예측 가능한 일정을 제시할 방침이다.
아직 이전 대상지·방식·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광주시 관계자는 “아직 이전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이뤄진 단계는 아니다. 상인들의 목소리를 모두 듣고 최적의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