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광주시, ‘오랜 숙원’ 마륵동 탄약고 이전사업 내년 재개
2025년 09월 08일(월) 19:55 가가
이전비 15억원 정부예산안 반영
남은 부지 문화 ·교육시설로 활용
안전한 생활환경·균형발전 기회
남은 부지 문화 ·교육시설로 활용
안전한 생활환경·균형발전 기회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 공사비를 반영함에 따라 이전사업이 재추진될 광주시 서구 마륵동 공군 탄약고. 광주시는 2005년부터 탄약고를 광주군공항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하다 2023년 중단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시민의 오랜 숙원인 마륵동 탄약고 이전사업이 내년부터 다시 추진된다.
광주시는 기존 도시계획에 따라 이전 후 남은 부지는 공원과 국제문화·MICE 기능을 결합한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마륵동 탄약고 이전 공사비 15억원을 반영하면서 2023년 중단 이후 표류하던 사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된다.
마륵동 탄약고는 광주군공항으로 이설된 후 광주공군항 이전지로 다시 옮겨질 예정이다.
마륵동 탄약고는 광주시 서구 마륵동에 자리한 군사시설로,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재산권 제한과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수십 년간 제기됐다.
아파트 진입로 연결 곤란과 개발 제약 등 생활 불편이 누적됐고 환매권·보호구역 조정 소송 등으로 집단민원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전사업은 2005년 국방부 승인을 받았고 총사업비 3262억원 가운데 2681억원을 보상과 공사에 투입했으나 광주 군공항 이전 논의와 맞물리며 2023년 하반기부터 잠정 중단됐다.
이번에 정부예산안에 공사비가 새로 반영돼 이전사업이 재개될 예정이다.
광주시는 이전사업 재개 배경에는 시의 전방위 대정부 설득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시는 7~8월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장에게 사업 재개의 필요성을 직접 건의했고, 구윤철 경제부총리·안규백 국방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와 잇달아 만나 2026년 예산안 반영까지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광주시당 위원장, 안도걸·박균택 국회의원도 지원 사격에 나서 내년도 예산 반영으로 이어졌다고 시는 전했다.
마륵동 탄약고 이전 후 남은 부지 활용 계획도 도시기본계획과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지역 공약을 바탕으로 구체화된다.
‘공원+국제문화·MICE’가 기본 축이다. 시는 2040도시기본계획에 국제문화교육시설을 조성하고 대규모 MICE 산업을 육성하며 지역전략기관 사업을 연계한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기본계획상 문화지구이자 광주전남혁신도시 배후단지로 지정돼 있고, 마륵동 탄약고 부지는 공원으로도 지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난개발을 막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수립이나 도시개발사업 방식 등을 검토 중이며, 구체안은 보호구역 해제 이후 결정된다.
절차적으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가 첫 관문이다. 국방부와 협의해 해제 범위와 시점을 확정하고, 동시에 지구단위계획 또는 도시개발 구상에 착수해 토지이용, 공원녹지 체계, 교통·방재 인프라, 경관·고도 관리 기준을 마련한다는 것이 시의 계획이다.
마륵동 탄약구 부지는 공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생활권 녹지축이 상무지구와 첨단지구, 나주 혁신도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국제문화·교육시설과 전시·컨벤션(MICE) 기능이 결합하면 서부권 도심의 산업·관광·교육 클러스터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재정은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추가 국비 확보가 관건이다.
시는 이전 공정을 차질 없이 진행하면서 보호구역 해제와 병행해 부지 활용계획의 법정 절차를 선제적으로 준비해 ‘공백기’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정전국 군공항이전추진단장은 “마륵동 탄약고 이전은 단순 민원 해소를 넘어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과 지역 균형발전의 기틀”이라며 “이번 예산안 반영을 계기로 사업을 본격 재개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는 기존 도시계획에 따라 이전 후 남은 부지는 공원과 국제문화·MICE 기능을 결합한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8일 광주시에 따르면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마륵동 탄약고 이전 공사비 15억원을 반영하면서 2023년 중단 이후 표류하던 사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된다.
마륵동 탄약고는 광주시 서구 마륵동에 자리한 군사시설로,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재산권 제한과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수십 년간 제기됐다.
아파트 진입로 연결 곤란과 개발 제약 등 생활 불편이 누적됐고 환매권·보호구역 조정 소송 등으로 집단민원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에 정부예산안에 공사비가 새로 반영돼 이전사업이 재개될 예정이다.
시는 7~8월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장에게 사업 재개의 필요성을 직접 건의했고, 구윤철 경제부총리·안규백 국방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와 잇달아 만나 2026년 예산안 반영까지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광주시당 위원장, 안도걸·박균택 국회의원도 지원 사격에 나서 내년도 예산 반영으로 이어졌다고 시는 전했다.
마륵동 탄약고 이전 후 남은 부지 활용 계획도 도시기본계획과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지역 공약을 바탕으로 구체화된다.
‘공원+국제문화·MICE’가 기본 축이다. 시는 2040도시기본계획에 국제문화교육시설을 조성하고 대규모 MICE 산업을 육성하며 지역전략기관 사업을 연계한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기본계획상 문화지구이자 광주전남혁신도시 배후단지로 지정돼 있고, 마륵동 탄약고 부지는 공원으로도 지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난개발을 막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수립이나 도시개발사업 방식 등을 검토 중이며, 구체안은 보호구역 해제 이후 결정된다.
절차적으로는 군사시설보호구역 해제가 첫 관문이다. 국방부와 협의해 해제 범위와 시점을 확정하고, 동시에 지구단위계획 또는 도시개발 구상에 착수해 토지이용, 공원녹지 체계, 교통·방재 인프라, 경관·고도 관리 기준을 마련한다는 것이 시의 계획이다.
마륵동 탄약구 부지는 공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생활권 녹지축이 상무지구와 첨단지구, 나주 혁신도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국제문화·교육시설과 전시·컨벤션(MICE) 기능이 결합하면 서부권 도심의 산업·관광·교육 클러스터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재정은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추가 국비 확보가 관건이다.
시는 이전 공정을 차질 없이 진행하면서 보호구역 해제와 병행해 부지 활용계획의 법정 절차를 선제적으로 준비해 ‘공백기’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정전국 군공항이전추진단장은 “마륵동 탄약고 이전은 단순 민원 해소를 넘어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과 지역 균형발전의 기틀”이라며 “이번 예산안 반영을 계기로 사업을 본격 재개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