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선포
2025년 08월 27일(수) 21:05
‘5극 3특’ 균형성장전략에 맞춰
광주·전남 공동 행정체제 구축

27일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추진 선포식이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신수정(왼쪽부터) 광주시의회 의장, 강기정 광주시장,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태균 전남도의회 의장. /나명주기자mjna@kwangju.co.kr

광주시와 전남도의 공동 행정체제 구축을 위한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특별자치단체)이 연말 출범한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이재명 정부 ‘5극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에 보조를 맞춰, 교통·산업·문화·환경 등 광주시와 전남도의 초광역 사무를 추진하는 기구다.

27일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선포식이 열렸다.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양 시·도의회 의장 등이 참석해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은 정부의 국가균형성장 정책을 집행하는 지방시대위원회와 연동해 지역 균형발전 정책을 실행하는 기구다.사실상 이재명 정부의 5극3특 정책의 지역 구심점이 이자 초광역협력 체계다.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은 둘 이상 지자체가 광역적 사무를 공동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법인격’으로, 의회·단체장·사무처를 갖추는 점이 핵심이다.

광역행정협의회처럼 느슨한 협의체가 아니라 규약과 의결 절차로 움직이는 집행조직이어서 안정성과 지속성이 높다는 것이 양 시·도의 설명이다.

운영 경비는 인구·사무 범위 등을 반영한 분담금·사용료로 마련하고, 국비·특별교부세·대형 공모사업 등 외부재원을 결합해 재정 기반을 확충한다.

사무는 시민 체감도가 높고 성과 도출이 가능한 분야부터 우선 추진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게 기본 설계다.

양 시·도는 다음 주부터 광주시청 1층에 합동추진단(TF)을 사무실을 마련하고 본격 활동에 돌입한다.

광주·전남 각 5명 내외로 구성해 조직·재정 설계, 규약(목적·명칭·사무·기관구성 등) 제정안 마련, 양 시·도의회 의결, 행정안전부 승인까지 출범 5단계 로드맵을 마련한다.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은 연합의회 설치와 집행기관 운영을 통해 공동사무의 상시 추진체계를 갖춘다. 양 시·도는 이날 제1호 공동사무로 ‘광주~나주 광역철도’ 구축을 선정했다.

정부는 호남권을 포함한 5개 권역과 전북·제주·강원 3개 특구를 성장엔진으로 삼아 교통·교육·산업에 ‘집중투자’를 예고하고 있다.

광주·전남은 AI·모빌리티·에너지 전환과 문화·관광을 묶는 다핵형 모델을 앞세워, 교통망과 산업·정주 여건을 한 번에 끌어올리는 전략을 준비 중이다.

김경수 위원장은 “이번 선포식은 두 지역의 협력을 넘어 국가균형성장의 새로운 이정표”라며 “광주·전남 청년들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며 가정을 꾸릴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 시장은 “전남이 커져야 광주가 성장한다. 초광역협력은 선택이 아닌 생존”이라고 강조했고, 김영록 지사는 “광주·전남이 하나의 공동체로 재도약해 호남이 국가성장의 중심축이 되도록 이끌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