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SRF 악취 해결 민관합동TF 출범
2025년 08월 23일(토) 13:05
시·구·의회·주민·전문가15명 구성…정보공유·모니터링 활동
복합악취 측정 결과 19일 기준(500이하)보다 2배(1000) 배출
민관합동TF 1차회의서 SRF시설 가동중지와 속도감있는 특단대책 요구

광주시청 전경. <광주시 제공>

광주시가 양과동 위생매립장 내 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SRF제조시설)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합동 전담팀(TF)을 꾸리고 본격 활동에 나섰다.

시설 운영 과정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악취가 확인되면서 사업자 측의 관리 부실과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1일 효천1·2지구 주민대표 5명, 최지현·임미란 광주시의원, 노소영 남구의원, 환경전문가 3명, 광주시와 남구 공무원 4명 등 15명으로 민관합동TF를 출범했다.

자문위원으로는 김병내 남구청장과 강성곤·정진욱 국회의원실 관계자, 조재옥 진보당 광주시당 남구공동위원장이 참여한다.

이번 TF는 지난 14일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병내 남구청장이 주민 간담회에서 약속했던 후속 조치다.

당시 주민들은 “SRF 가동 중단과 악취 상시 모니터링, 악취관리지역 지정, 성분 분석, 투명한 운영 공개”를 강력히 요구했고, 시와 남구는 이에 대해 “신속한 행정처분, 악취관리지역 검토, 전문기관 자문” 등을 약속했다.

문제는 악취가 실제로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광주시와 남구가 지난 15일부터 실시한 상시 측정 결과, 지난 19일 SRF 배출구에서 측정된 악취 희석배수는 기준치 500의 두 배를 넘는 1000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SRF시설의 악취 민원이 수년간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운영사 ‘청정빛고을’과 ‘포스코 이앤씨’의가 실효성 있는 개선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광주시는 운영사에 법령 준수와 협약상 성능보증기준 이행을 강력히 요구하고, 시설 전반적인 개선과 자체 가동중지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하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행정의 반복된 경고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렵다”며 보다 강력한 제재와 가동 중단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관합동TF는 앞으로 정기회의와 현장 점검을 통해 주민 요구사항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근본적인 악취 해소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SRF시설 운영자의 책임 있는 자세와 실질적인 개선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주민 갈등과 불신은 계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이야기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