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AI산업 탄력 받는다
2025년 08월 11일(월) 20:00 가가
AI 모빌리티 시범도시 조성
국토부, 광주에 공동 용역 제안
2조원대 사업 ‘AI 생태계’ 활력
국토부, 광주에 공동 용역 제안
2조원대 사업 ‘AI 생태계’ 활력
광주 미래먹거리 산업의 양대 축의 하나인 ‘인공지능(AI) 모빌리티’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정부가 광주시에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용역을 공동으로 진행하자고 제안해 사실상 광주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7일 국토교통부는 광주시에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위한 사전기획·기본구상·기획 연구 용역’을 공동을 진행하자는 공문을 보내왔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국토부와 오는 9월 부터 내년 2월까지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전 기획연구에 대한 용역을 진행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용역 비용은 총 2억원 규모로 광주시가 1억5000만원 국비 5000만원이다. 인공지능 모빌리티 사업은 AI 기반 자율주행·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실제 도시에서 실증하고 상용화하는 1조 5000억원 규모 프로젝트다.
광주시와 국토부는 이 사업을 국가시범도시에 구현하기 위해 내년 3월부터 내년 12월까지는 20억원(국비10억원, 시비10억원) 규모의 기본구상 용역을 진행한다.
국토부의 공동용역을 제안한 배경에는 이재명 정부의 대선공약인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동일 사업을 놓고 경쟁 중인 충남, 대구, 경북 등 4개 시도 보다 광주시의 경쟁력 우위를 인정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시는 광주시 광산구 일원 빛그린산단과 미래차 국가산단을 사업 부지로 정하고 미래자동차를 비롯한 이동수단 등 새제품의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다.
용역결과 광주시의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나온다면 국토부는 1조 5000억원을 들여 광주에 자율주행차 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형 도로와 교통 인프라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모빌리티를 실제 광주도심에서 주행하고 시험하는 테스트베드 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기본구상 용역을 거쳐 내년 10월부터 2027년 5월까지 예타면제를 통과하면 2028년부터 국가시범도시를 착공하고 2030년 연말 준공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더해 광주시는 다음 달부터 내년 6월까지 총 5억원의 시비를 들여 ‘피지컬 AI기반 미래차 산업혁신 클러스터 조성 기획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에 선정될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미래차 클러스터 산업이 바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국토부의 인프라 사업과 산업부의 소프트웨어 사업을 뗄수 없기 때문이다. 산업부 사업은 5000억원 규모로 세계 최대 AI융합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엔드 투 엔드’(E2E·입력에서 출력까지 하나의 시스텀에 전 과정을 처리하는 방식)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산업 혁신을 클러스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광주는 국내 유일의 완성차 생산기지가 2곳(기아, 글로벌모터스)으로 연 72만대 생산능력을 보유한 우리나라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라는 점에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강점이 있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 담당자는 “14일 활동 종료를 앞둔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과제 확정 대국민보고회 전까지 유동적이지만, 국토부에서 관련 용역을 공동제안해 왔다”면서 “빛그린·미래차 국가산단 일원에 총 2조원에 달하는 AI·모빌리티 기술융합 실증 인프라를 구축한 스마트 미래도시 관련 사업이 광주에서 실현되면 광주 AI생태계에도 활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정부가 광주시에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용역을 공동으로 진행하자고 제안해 사실상 광주가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국토부와 오는 9월 부터 내년 2월까지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사전 기획연구에 대한 용역을 진행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용역 비용은 총 2억원 규모로 광주시가 1억5000만원 국비 5000만원이다. 인공지능 모빌리티 사업은 AI 기반 자율주행·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실제 도시에서 실증하고 상용화하는 1조 5000억원 규모 프로젝트다.
국토부의 공동용역을 제안한 배경에는 이재명 정부의 대선공약인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동일 사업을 놓고 경쟁 중인 충남, 대구, 경북 등 4개 시도 보다 광주시의 경쟁력 우위를 인정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용역결과 광주시의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나온다면 국토부는 1조 5000억원을 들여 광주에 자율주행차 산업 육성을 위한 미래형 도로와 교통 인프라를 구축할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모빌리티를 실제 광주도심에서 주행하고 시험하는 테스트베드 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기본구상 용역을 거쳐 내년 10월부터 2027년 5월까지 예타면제를 통과하면 2028년부터 국가시범도시를 착공하고 2030년 연말 준공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더해 광주시는 다음 달부터 내년 6월까지 총 5억원의 시비를 들여 ‘피지컬 AI기반 미래차 산업혁신 클러스터 조성 기획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AI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에 선정될 경우 산업통상자원부의 미래차 클러스터 산업이 바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국토부의 인프라 사업과 산업부의 소프트웨어 사업을 뗄수 없기 때문이다. 산업부 사업은 5000억원 규모로 세계 최대 AI융합 미래 모빌리티 연구개발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엔드 투 엔드’(E2E·입력에서 출력까지 하나의 시스텀에 전 과정을 처리하는 방식)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산업 혁신을 클러스트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광주는 국내 유일의 완성차 생산기지가 2곳(기아, 글로벌모터스)으로 연 72만대 생산능력을 보유한 우리나라 제2의 자동차 생산도시라는 점에서 AI 모빌리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강점이 있다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 담당자는 “14일 활동 종료를 앞둔 국정기획위원회의 국정과제 확정 대국민보고회 전까지 유동적이지만, 국토부에서 관련 용역을 공동제안해 왔다”면서 “빛그린·미래차 국가산단 일원에 총 2조원에 달하는 AI·모빌리티 기술융합 실증 인프라를 구축한 스마트 미래도시 관련 사업이 광주에서 실현되면 광주 AI생태계에도 활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