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가 선점한 ‘AI 중심도시’ 사활 걸고 지켜야
2025년 06월 24일(화) 00:00
광주시의 미래 먹거리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다. 민선 7기 타 지자체가 정부에 SOC 사업을 요청할 때부터 광주시만 AI산업 투자를 요청했고 민선 8기 들어 인프라 확충에 나서 ‘AI 중심도시’라는 입지를 선점했다.

광주시는 첨단 3지구에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269억원을 들여 AI 기술개발에 필요한 핵심 인프라인 AI데이터센터와 대형 드라이빙시뮬레이터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2단계 사업으로 AI를 실제 업무와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한 AX실증밸리 조성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수준인 10만장의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보해 국가 AI컴퓨팅센터를 유치하는 2단계 사업을 2030년까지 완료하면 광주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AI 중심도시로 확고하게 자리잡는다는 것이 광주시의 계획이다.

하지만 새 정부 들어 지자체들이 AI 인프라 유치에 적극 나서고 정부도 한 곳에 집중하기보다 분산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빨간불이 켜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0일 SK그룹의 울산 AI데이터센터 건립 출범식에 참석했는데 이 자리에서 울산시장은 울산을 AI 특구로 지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광주는 연구 중심이고 실제 산업현장은 울산에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AI 산업을 볼 때 일자리를 창출하는 알맹이는 SK가 대규모 투자에 나선 울산에 있고 광주는 연구 시설만 있다는 의미로 광주가 실속없는 AI 중심도시가 될 수도 있다는 경고로 읽힌다.

데이터센터를 전국 5대 권역에 분산하겠다는 AI 고속도로 구축 정책에서 알 수 있듯 정부도 한 곳에 인프라를 집적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AI 산업은 국가가 주도하지만 울산에 SK가 투자한 것처럼 민간의 투자와 병행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전략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광주시는 AI 중심도시를 완성하기 위해 투 트랙 전략으로 임해야 한다. 정부를 상대로는 민선 7기부터 선점한 AI 선도도시라는 명분을 내세워 가능한 지원을 이끌어 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민간투자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의 최적지는 신재생에너지 메카인 전남인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도 있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