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폭 역대 최소
2025년 05월 21일(수) 16:50 가가
통계청, ‘2024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 발표
지난해 4분기 전국 임금 근로 일자리 2090만 2000개, 전년비 15만 3000개 증가…관련 통계 작성된 2018년 이래 역대 최소 증가폭
20대, 40대 일자리 감소 및 ‘건설업 부진' 원인
지난해 4분기 전국 임금 근로 일자리 2090만 2000개, 전년비 15만 3000개 증가…관련 통계 작성된 2018년 이래 역대 최소 증가폭
20대, 40대 일자리 감소 및 ‘건설업 부진' 원인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폭이 역대 최소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내수 부진 장기화된 데 따른 것으로 20대와 40대 등 젊은 세대의 임금 근로 일자리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90만2000개로 전년 대비 15만 3000개(0.8%)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임금 근로 일자리를 분기별로 집계하기 시작한 2018년 이래 최소 증가폭이다.
통계청이 정의한 ‘일자리’의 개념은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뜻하며, 같은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일자리를 점유할 경우 각각 집계되는 방식이다.
지난해 4분기 지속 일자리는 1509만 6000개, 다른 근로자로 대체된 일자리는 336만 2000개로 집계됐다. 또 기업체 생성 및 사업 확장 등으로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4만 4000개, 기업체 소멸 및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9만 2000개였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건설업 일자리는 지난해 4분기 기준 189만 2000개로 1년 전보다 10만 9000개 감소했다. 이 역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감소폭이다. 같은 기간 ‘부동산 한파’로 인해 부동산 일자리 역시 9000개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 일자리가 14만 8000개 줄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해 폐업한 자영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 40대에서도 8만 4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20대와 40대 모두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반면 고령층 재취업 프로그램 및 ‘인생 2막’ 지원 등의 영향으로 60대 이상 일자리는 24만 8000개 증가했다. 이 밖에 30대(6만 7000개), 50대(7만개) 등도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90만2000개로 전년 대비 15만 3000개(0.8%)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임금 근로 일자리를 분기별로 집계하기 시작한 2018년 이래 최소 증가폭이다.
지난해 4분기 지속 일자리는 1509만 6000개, 다른 근로자로 대체된 일자리는 336만 2000개로 집계됐다. 또 기업체 생성 및 사업 확장 등으로 새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4만 4000개, 기업체 소멸 및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9만 2000개였다.
반면 고령층 재취업 프로그램 및 ‘인생 2막’ 지원 등의 영향으로 60대 이상 일자리는 24만 8000개 증가했다. 이 밖에 30대(6만 7000개), 50대(7만개) 등도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