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반성은커녕 거짓말·궤변만…헌재, 조속히 파면해야
2025년 02월 26일(수) 20:10 가가
탄핵심판 최후진술 지역민 공분…헌법 위반에도 계엄 정당화 분노
“파면 결정 나오더라도 굴복하지 않겠다”…다시 복귀할까 불안감도
“파면 결정 나오더라도 굴복하지 않겠다”…다시 복귀할까 불안감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한 최후진술이 지역민의 공분을 사고있다.
국민을 두려움에 떨게하고도 반성은커녕 야당 탓만 하고 여전히 궤변만 늘어놓고 있다는 점에서다. 한편에서는 윤 대통령의 발언으로 보수세력이 결집하고 있는 만큼 “혹시라도 윤 대통령이 복귀하면 어떡하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광주시 남구에 거주하는 김선희(여·48)씨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을 지켜본 뒤 분노와 불안감으로 밤 늦게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
김씨는 윤 대통령이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다”고 진술한 것을 두고 “총을 든 계엄군이 국회 유리창을 깨 진입한 것을 온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봤는데도 뻔뻔하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이기적인 결정으로 계엄을 선포해 온 나라를 흔들어놓고 사과도 제대로 안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김씨는 또 “화도 나지만 윤 대통령이 복귀하면 어쩌지 하는 생각도 든다. 복귀하면 당연히 2차, 3차 계엄을 선포할 것이다”고 불안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남구 백운동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이모(50)씨는 “윤 대통령은 부정하고 있지만 여러 증언을 통해 부실한 국무회의와 국회의원 체포 지시 등 헌법 위반 사실이 명백하게 드러났다”며 “윤 대통령이 중국과 간첩을 운운해 극단적으로 분열시킨 우리 사회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는 “헌법재판소는 헌정을 유린하고 극우세력을 선동해 폭동을 조장하는 윤 대통령을 조속히 파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윤석열정권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광주비상행동)은 26일 성명서를 내고 “윤 대통령이 최후 진술에서 한 일은 대통령직 복귀라는 헛된 꿈을 붙잡고 마지막까지 거짓과 망상으로 헌재를 내란 선동의 장으로 만드는 일이었다”고 비판했다.
광주비상행동은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에서 직무에 복귀하면 임기 단축 개헌을 단행하고 조기 퇴진하겠다고 했지만, 국회 계엄 해제 의결 이후 대국민담화에서 법적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의 약속은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다”며 “국민 신임을 배반한 윤 대통령에게 주어진 길은 파면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광주 경실련도 성명서를 통해 “윤 대통령은 구시대적 이념 갈등을 조장해 국론을 분열시키고,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이 순간에도 헌정질서 유린을 지속하고 있다”며 “헌재는 윤 대통령 파면을 통해 비상계엄이 정적 제거와 자기 보호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동화 광주시민센터 대표는 “윤 대통령은 마지막까지 야당 탓, 중국 탓, 누군가의 탓만 하면서 지지자들을 선동하고 국민들을 갈라치기하고 있다”며 “복귀하면 개헌을 하겠다고 하는데 개헌은 민의를 모아 야당과 협치를 해야 겨우 가능한 일이다. 개헌을 파면을 피하기 위한 카드로 쓰려는 점이 어처구니가 없다”고 지적했다.
유창민 광주전남촛불행동 사무국장은 “윤 대통령이 자신의 무리한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다고 느꼈다”면서도 “헌재에서 파면 결정이 나오더라도 굴복하지 않겠다, 언제라도 극우세력을 선동해 폭동을 조장하겠다는 이야기처럼 들렸다”며 걱정을 표하기도 했다.
오월 단체도 “윤 대통령의 파면이 당연하다”면서 헌재에 빠른 파면 결정을 촉구했다.
양재혁 5·18유족회장은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책임을 회피하고 변명과 거짓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니 참담한 심정까지 들었다”며 “오월단체들은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윤 대통령의 독재 시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헌재에도 이 중대한 역사적 심판에 대해 반드시 정의로운 판단을 내려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윤 대통령의 최후진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 야당 탓이고 내 잘못은 없다’는 것 아니냐. 이미 명백히 밝혀진 사실 관계에 대해서도 부정하는 모습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면서도 “특히 청년들을 선동하고 있는데 그게 먹혀들고 있다는 점이 걱정이다. 사회가 양분되기 전에 빠른 헌재의 파면 결정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윤 대통령이 “(대통령 탄핵집회가) 북한의 지령대로 된 것 아니냐”며 노동단체 탓을 한 것에 대해 광주지역 노동단체들은 “윤 대통령이 아직도 가상세계에 살고 있는 것 같다”며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종욱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은 “자신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을 모두 간첩으로 몰고, 심지어는 이태원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시민들의 집회마저도 북한의 지령이라고 하니 2년 6개월동안 국정을 책임졌던 최고 책임자의 발언이 맞나 싶다”며 “헌정을 흔들고 선동을 일삼으며 조금의 반성도 하지 않는 윤 대통령에 대해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파면 결정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국민을 두려움에 떨게하고도 반성은커녕 야당 탓만 하고 여전히 궤변만 늘어놓고 있다는 점에서다. 한편에서는 윤 대통령의 발언으로 보수세력이 결집하고 있는 만큼 “혹시라도 윤 대통령이 복귀하면 어떡하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김씨는 윤 대통령이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다”고 진술한 것을 두고 “총을 든 계엄군이 국회 유리창을 깨 진입한 것을 온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봤는데도 뻔뻔하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이기적인 결정으로 계엄을 선포해 온 나라를 흔들어놓고 사과도 제대로 안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광주·전남 시민사회단체는 “헌법재판소는 헌정을 유린하고 극우세력을 선동해 폭동을 조장하는 윤 대통령을 조속히 파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윤석열정권즉각퇴진·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광주비상행동)은 26일 성명서를 내고 “윤 대통령이 최후 진술에서 한 일은 대통령직 복귀라는 헛된 꿈을 붙잡고 마지막까지 거짓과 망상으로 헌재를 내란 선동의 장으로 만드는 일이었다”고 비판했다.
광주비상행동은 “윤 대통령은 최후 진술에서 직무에 복귀하면 임기 단축 개헌을 단행하고 조기 퇴진하겠다고 했지만, 국회 계엄 해제 의결 이후 대국민담화에서 법적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의 약속은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다”며 “국민 신임을 배반한 윤 대통령에게 주어진 길은 파면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광주 경실련도 성명서를 통해 “윤 대통령은 구시대적 이념 갈등을 조장해 국론을 분열시키고, 탄핵 심판이 진행되는 이 순간에도 헌정질서 유린을 지속하고 있다”며 “헌재는 윤 대통령 파면을 통해 비상계엄이 정적 제거와 자기 보호의 수단으로 악용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임동화 광주시민센터 대표는 “윤 대통령은 마지막까지 야당 탓, 중국 탓, 누군가의 탓만 하면서 지지자들을 선동하고 국민들을 갈라치기하고 있다”며 “복귀하면 개헌을 하겠다고 하는데 개헌은 민의를 모아 야당과 협치를 해야 겨우 가능한 일이다. 개헌을 파면을 피하기 위한 카드로 쓰려는 점이 어처구니가 없다”고 지적했다.
유창민 광주전남촛불행동 사무국장은 “윤 대통령이 자신의 무리한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다고 느꼈다”면서도 “헌재에서 파면 결정이 나오더라도 굴복하지 않겠다, 언제라도 극우세력을 선동해 폭동을 조장하겠다는 이야기처럼 들렸다”며 걱정을 표하기도 했다.
오월 단체도 “윤 대통령의 파면이 당연하다”면서 헌재에 빠른 파면 결정을 촉구했다.
양재혁 5·18유족회장은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책임을 회피하고 변명과 거짓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니 참담한 심정까지 들었다”며 “오월단체들은 역사를 거꾸로 돌리려는 윤 대통령의 독재 시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헌재에도 이 중대한 역사적 심판에 대해 반드시 정의로운 판단을 내려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윤 대통령의 최후진술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 야당 탓이고 내 잘못은 없다’는 것 아니냐. 이미 명백히 밝혀진 사실 관계에 대해서도 부정하는 모습을 보면 한숨만 나온다”면서도 “특히 청년들을 선동하고 있는데 그게 먹혀들고 있다는 점이 걱정이다. 사회가 양분되기 전에 빠른 헌재의 파면 결정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윤 대통령이 “(대통령 탄핵집회가) 북한의 지령대로 된 것 아니냐”며 노동단체 탓을 한 것에 대해 광주지역 노동단체들은 “윤 대통령이 아직도 가상세계에 살고 있는 것 같다”며 어처구니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종욱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은 “자신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을 모두 간첩으로 몰고, 심지어는 이태원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는 시민들의 집회마저도 북한의 지령이라고 하니 2년 6개월동안 국정을 책임졌던 최고 책임자의 발언이 맞나 싶다”며 “헌정을 흔들고 선동을 일삼으며 조금의 반성도 하지 않는 윤 대통령에 대해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파면 결정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