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엄정한 법 집행으로 헌법 질서 세워야
2025년 01월 06일(월) 00:00 가가
내란 수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이 불발된 데 대한 아쉬운 목소리가 크다. 공수처는 지난 3일 윤 대통령 체포에 나섰지만 경호처의 저항에 막혀 5시간 30여분 대치 끝에 집행을 포기했다.
공수처는 집행 과정에서 물리적인 충돌로 인한 사고를 우려해 포기했다고 밝혔지만 실시간으로 지켜본 국민들의 아쉬움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경호처 요원들을 인간 방패 삼아 관저에 틀어 박힌 윤 대통령에 대한 분노와 함께 국격을 떨어뜨리는 행위에 부끄러움을 느끼는 국민들도 많았다. 모든 원인은 비겁하고 치졸한 윤 대통령에 있지만 경호처장을 비롯한 일부 경호처 간부들의 그릇된 충성심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대통령 관저를 지키는 경찰과 군인들은 바리케이드를 풀고 공수처에 협조했지만 경호처 충성파 간부들은 ‘몸싸움에서 밀리면 발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증언이 나올 정도로 정부의 합법적인 법 집행을 방해했다.
1차 집행 실패를 놓고 미온적인 대처였다며 공수처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체포영장 집행 시한은 오늘 자정이다. 이제는 좌고우면 할 시간이 없다. 법원은 어제 윤 대통령 측의 체포영장 이의신청을 기각했다. 공정한 절차에 따른 법 집행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해 준 만큼 이제 남은 것은 공수처의 엄정한 집행 뿐이다. 1차 집행 때 5시간 30분이나 대치하면서도 공권력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2차 집행시 강제력을 동원하기 위한 충분한 명분이 된다.
체포영장 대신 곧바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지금은 엄정한 법 집행으로 내란 세력에게 헌법 질서를 보여주는 것이 우선이다. 경호처를 움직이려는 최상목 권한대행의 적극적인 행동도 필요하다.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대통령 관저를 지키는 경찰과 군인들은 바리케이드를 풀고 공수처에 협조했지만 경호처 충성파 간부들은 ‘몸싸움에서 밀리면 발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증언이 나올 정도로 정부의 합법적인 법 집행을 방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