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월급통장을 사장이 관리하다니
2024년 12월 13일(금) 00:00 가가
전남지역 이주노동자 10명 가운데 6명이 자신의 급여를 스스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급여통장을 사업주가 관리하거나 급여통장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이주노동자도 상당수에 달했다.
지난 11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공동 개최한 ‘전남지역 이주노동자 인권증진을 위한 집담회’에서 문보현 전남노동권익센터 팀장은 이주노동자 2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된 ‘2024 전남 이주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들의 월급 평균은 259만 8000원으로, 가장 많은 지출 항목은 숙소비용(52.0%)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공제항목을 잘 모른다’고 답한 경우도 20.5%에 달해 한국 법률 교육과 생활 적응 교육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심각한 문제는 ‘임금이 입금되는 통장이 없다’고 답한 이주노동자가 60%에 달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근무시간의 경우 57.7%가 하루 평균 9~10시간 일하고 있으며, 11~12시간 일한다고 응답한 노동자도 12%에 달했다. 10명 중 7명의 노동자들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린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응답자의 64.6%가 부당대우에 대해 ‘그냥 참고 넘어간다’고 답했으며, 45.8%가 고용센터나 노동청에 신고, 29.2%는 이주노동자 지원 단체에 요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4년 이후 국내 체류한 외국인 노동자는 누적 100만 명을 넘어설 만큼 한국 노동시장을 지탱하는 중요한 축이다. 이들의 건강한 노동권이 보장돼야 지속적인 경제성장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근절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지난 11일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전남노동권익센터가 공동 개최한 ‘전남지역 이주노동자 인권증진을 위한 집담회’에서 문보현 전남노동권익센터 팀장은 이주노동자 2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침해와 노동착취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