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 위해 무안군민 설득 적극 나서야”
2024년 11월 14일(목) 19:40 가가
산업건설위원들 시의회 행감서 단체장 대화 등 촉구
광주 민간·군 공항을 무안으로 통합 이전하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장 간 대화와 소음 보상비 현실화 등 광주시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소속 강수훈(민주·서구1) 의원은 14일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와 무안군의 관계가 남북 관계와 비슷하다고 본다”며 “지도자끼리 대화하고 서로 교류하고 마음을 얻어내는 게 필요하다. DJ 정부의 ‘햇볕정책’처럼 광주시에서 끊임없이 무안군에 노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또 “전남도의회 무안국제공항특별위원회 업무보고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무안공항 이용객은 100만명에 달했지만 무안지역 내 총생산(GRDP)에는 변화가 없었다”며 “무안군민 입장에서는 무안공항 활성화가 삶에 직결되는 일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다. 이럴 때일수록 광주시가 무안군민의 마음을 어떻게 살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기(민주·광산구5) 의원도 군 공항 소음 보상비를 현실화해 공항 이전 사업의 추진력과 설득력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박 의원은 “현재 월 최대 6만원의 소음 보상비는 현실에 맞지 않다. 특히 주거지 중심 대상 범위를 일과 시간의 실질적인 피해 대상인 직장·학교 등 생활인구까지 확대하는 소음피해 보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며 “20년 전 기준으로 책정된 국방부의 보상비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석웅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장은 “군 공항 소음 보상 관련 법을 개정하기 위해 국방부와 국회의원들에게 건의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보상액을 월 최대 10만원으로 상향하고 소음 대책 지역 경계 기준 변경으로 보상 지역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광주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소속 강수훈(민주·서구1) 의원은 14일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와 무안군의 관계가 남북 관계와 비슷하다고 본다”며 “지도자끼리 대화하고 서로 교류하고 마음을 얻어내는 게 필요하다. DJ 정부의 ‘햇볕정책’처럼 광주시에서 끊임없이 무안군에 노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석웅 광주시 통합공항교통국장은 “군 공항 소음 보상 관련 법을 개정하기 위해 국방부와 국회의원들에게 건의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보상액을 월 최대 10만원으로 상향하고 소음 대책 지역 경계 기준 변경으로 보상 지역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