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윤 광주시의원 “극락강역 문화재생사업 중단 신중히”
2024년 11월 12일(화) 18:10

김나윤 광주시의원

광주시가 흉물로 방치된 공간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사업 중단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예산·계약 등 문제 해결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금까지 투입한 예산 중 90% 이상이 국비인 데다 설계 비용·임대료 등 매몰 비용, 향후 공사 취소에 따른 배상금 등을 고려했을 때 사업의 실효성 등을 다시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나윤(민주·북구6) 광주시의원은 지난 11일 광주시 문화체육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광주시가 2020년부터 추진한 극락강역 폐사일로 재생사업이 공사비 증가로 인한 사업 규모 축소 등으로 사업 중단 위기에 처했다”며 “공사 예산·계약 문제와 매몰 비용에 대한 추가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극락강역 폐사일로 문화재생 사업은 광주시 광산구 신가동 극락강역 내 흉물로 방치된 현대시멘트 사일로(화물 저장용 창고)를 개·보수해 광주시만의 독특한 복합문화공간을 만드는 게 핵심으로, 전시 공간과 시민 활동 공간, 카페테리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광주시는 지난 7월 해당 사업의 공사계약 착공을 9월로 변경한 뒤 다시 올 연말로 연기한 상태다. 사업 추진율은 30%로 현재 설계 용역은 일시 중지됐다.

김 의원은 “공사비 상승과 도시계획 시설 문제로 사업 규모가 당초 추진하려던 1165㎡·5층에서 384.45㎡·2층으로 크게 줄었다”며 “토지 임대 비용도 2022년 11월부터 5년 동안 계약돼 있어 연 2755만원이 계속 지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총예산 43억원(국비19억·시비24억) 중 투입된 예산은 15억4000만 원이며 이 가운데 14억9000만 원이 국비”라면서 “설계 비용과 임대료 등 매몰 비용도 4억5000여만원이고 향후 공사 지연·취소 배상금, 자제 계약 등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여러 사정으로 사업이 중단되면 그동안 투입된 예산과 행정력이 낭비된다”며 “사업의 실효성은 물론 시민 활용 발전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사업 중단 검토를 심사숙고해달라”고 제안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