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성폭력 피해자 국가 차원 명예회복 필요”
2024년 10월 01일(화) 21:55 가가
피해자 모임 ‘열매’ 증언대회…피해자들 아직도 후유증 시달려
5·18진상조사규명위원회가 대국민 조사보고서를 끝으로 4년간의 활동을 종료했지만 피해자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어 국가 차원의 피해자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18이 국가가 자행한 국가 폭력인 만큼 정부 차원의 피해자 치유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5·18 성폭력 피해자 모임 ‘열매’는 지난 30일 국회에서 5·18 성폭력 피해자 증언대회 ‘용기와 응답’을 열었다.
5·18 당시 도청 학생 수습 대책위원회 활동을 한 김선옥씨는 당시 피해 상황을 생생하게 기억했다.
김씨는 “연행된 후 광산경찰서에 구금돼 있었고 상무대에서 조사를 받았다”며 “조사를 받기 위해 군용차량을 타고 상무대로 이동해야 했는데, 수사관이 이동 중 여관으로 데려가 강간했다”고 진술했다.
김씨는 성폭행 피해 당시 상황과 가해자의 눈빛이 반복되는 꿈을 자주 꾸는 등 후유증에 시달렸다.
5·18 임신 3개월의 임산부였던 최경숙씨는 차량을 침입한 계엄군 2명에게 성폭행당했다.
최씨는 계엄군에게 나던 땀 냄새와 숨 냄새가 아직까지 잊혀지지 않아 늘 냄새에 예민했다. 그저 자신이 민감하다고 여겼지만 이 역시 피해 후유증이었다.
그는 군복만 봐도 어지럽고 구토가 몰려왔고, 두 아들이 군복을 입는 것도 싫어 의무경찰로 입대시켰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5·18을 국가 폭력으로 인정하고 지난 6월 대정부 권고사항을 담은 종합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렇다 할 후속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 차원의 피해자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윤경회 전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팀장은 “5·18 성폭력 피해자들은 사건 이후 생애사 전반에 걸쳐 신체·정신·사회 관계적 영역에서 복합적 후유증을 겪어 왔다”며 “국가는 43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피해자들의 치유와 명예회복을 위하여 책임 있는 조치를 강구해야 할 주체이며, 군과 경찰 등 국가권력이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폭력과 같은 반인도적 범죄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수립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5·18 당시 도청 학생 수습 대책위원회 활동을 한 김선옥씨는 당시 피해 상황을 생생하게 기억했다.
김씨는 “연행된 후 광산경찰서에 구금돼 있었고 상무대에서 조사를 받았다”며 “조사를 받기 위해 군용차량을 타고 상무대로 이동해야 했는데, 수사관이 이동 중 여관으로 데려가 강간했다”고 진술했다.
5·18 임신 3개월의 임산부였던 최경숙씨는 차량을 침입한 계엄군 2명에게 성폭행당했다.
최씨는 계엄군에게 나던 땀 냄새와 숨 냄새가 아직까지 잊혀지지 않아 늘 냄새에 예민했다. 그저 자신이 민감하다고 여겼지만 이 역시 피해 후유증이었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5·18을 국가 폭력으로 인정하고 지난 6월 대정부 권고사항을 담은 종합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이렇다 할 후속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 차원의 피해자 명예 회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윤경회 전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 팀장은 “5·18 성폭력 피해자들은 사건 이후 생애사 전반에 걸쳐 신체·정신·사회 관계적 영역에서 복합적 후유증을 겪어 왔다”며 “국가는 43년 만에 모습을 드러낸 피해자들의 치유와 명예회복을 위하여 책임 있는 조치를 강구해야 할 주체이며, 군과 경찰 등 국가권력이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성폭력과 같은 반인도적 범죄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수립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