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일방적 방류 용납 안 된다
2023년 02월 08일(수) 00:00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오염수의 해양 방류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주변 국가들의 반대에도 일본 정부가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위한 설비 공사를 자국 일정에 맞춰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각료회의에서 오염수 방류 개시 시점에 대해 ‘올해 봄부터 여름쯤’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후쿠시마 제1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 관계자도 지난 2일 연합뉴스 등 외신 기자들과 만나 “작년 8월 방류 설비 공사에 본격 착수했으며 올봄 내로 공사를 끝낼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다핵종 제거 설비(ALPS)로 정화 처리해 방류할 계획이라며 해양 방류의 안전성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정화 처리 과정에서 세슘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 62종은 제거할 수 있으나 삼중수소는 걸러지지 않는다. 이에 일본 정부는 원전 앞 바닷물과 희석, 삼중수소의 농도를 기준치보다 낮춰 바다로 흘려보낸다는 방침이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어난 지 12년이 다 돼 가지만, 후쿠시마현에서 잡힌 어류 등에서는 여전히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고 있다. 이는 일본 정부의 주장처럼 제아무리 오염수를 희석한다도 해도 완벽하게 걸러낼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일본 어민 단체들까지 이미지 악화로 피해를 볼 수 있다며 반발하는 상황에서 해양 방류는 참으로 무책임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독일의 헬름홀츠 해양연구소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방류 후 7개월이면 제주 해역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예정대로 방류가 이뤄질 경우 수산물 소비 위축으로 전남 수산업계에도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는 한일 관계를 우려한 탓인지 오염수 문제 제기에 소극적이다. 원전 오염수는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일본의 일방적 방류를 막을 수 있도록 강력히 대응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