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 한파 속 ‘난방비 폭탄’ 서민 시름 커진다
2023년 01월 26일(목) 00:05 가가
설 연휴부터 기록적인 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시가스 요금 인상 등으로 난방비 폭탄을 맞았다는 가구가 속출하고 있다. 시민들은 지난달 관리비 고지서를 확인한 결과 예년과 비슷한 실내 온도를 유지했는데도 난방비가 50%에서 배 가까이 폭등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고지서 인증샷과 함께 원성이 쏟아졌다.
올겨울 난방비가 급등한 것은 가스 요금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수도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3.2% 올랐으며, 특히 도시 가스는 36.2%나 상승했다. 여기에 날씨까지 추워지면서 각 가정에서 체감하는 난방비 상승폭은 훨씬 가파르다. 전기 요금도 지난해 세 차례에 걸쳐 kWh당 19.3원 오른 데 이어 이달 들어 또다시 13.1원 인상됐다. 전기난로나 전기장판, 온풍기 같은 난방 장치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비 인상 체감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설상가상으로 올겨울 최강 한파가 밀려오면서 난방비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 상승에 따라 올해 도시 가스 요금 추가 인상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가뜩이나 고물가로 살림살이가 팍팍해지는 상황에서 난방비 폭등은 서민 가정에 큰 충격을 줄 수밖에 없다. 특히 저소득층이나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은 생활비가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가스 요금이 오르면 난방부터 줄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도 여야는 ‘난방비 폭탄’의 원인을 전·현 정권에 돌리며 책임 공방에만 골몰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 가스·전기 요금 인상을 억눌러 온 만큼 요금 현실화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서민 부담을 감안하면 적절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
취약계층에 대한 요금 할인을 확대하고 에너지 이용권(바우처) 지원 예산을 늘려 추위에 고통받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요금 할인을 확대하고 에너지 이용권(바우처) 지원 예산을 늘려 추위에 고통받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