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고향 사랑 기부제’ 알릴 절호의 기회다
2023년 01월 20일(금) 00:05 가가
소멸 위기에 처한 지자체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고향 사랑 기부제’가 올해 처음 시행되면서 기부금 유치를 위한 지역 간 경쟁이 뜨겁다.
고향 사랑 기부제는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자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세액 공제 혜택과 함께 지역 특산품 등 답례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시행 초기여서 국민의 인지도가 낮다.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남 출향인 13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에서 고향 사랑 기부제를 “알고 있다”는 응답은 9.0%에 그쳤다. 열 명 중 한 명에도 못 미친다.
결국 제도의 성공은 인지도 확대에 달려 있는 셈이다. 이에 광주·전남 지자체들은 기부 활성화 방안 마련에 안간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 출신 유명 연예인을 내세운 홍보와 기부, 휴대전화 연결음·관광지 방문 홍보 등이 대표적이다. 고흥군은 출향 인사들을 상대로 홍보에 나설 100여 명의 군민 홍보단까지 꾸렸다.
지역에 직접 거주하지는 않지만 문화 체험 등 다양한 교류로 관련을 맺는 ‘관계 인구’ 확대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기부금의 30%까지 받을 수 있는 답례품 선정도 기부를 유인할 수 있는 핵심 요소다. 광주시는 기부자 이름을 문화예술회관 대극장 좌석에 새겨 주는 ‘네이밍 도네이션’을, 장성군은 백양사 템플스테이 이용권을 제공하는 등 저마다 지역 특성을 살려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민족 대이동이라고 부를 만큼 대규모 귀성이 이뤄지는 설 연휴는 출향인들에게 고향 사랑 기부금 제도를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명절 밥상머리나 친지들과 만남에서 화제에 오를 수 있도록 지자체가 적극 홍보에 나서야 한다. 단순히 애향심에 호소하기보다 기부금이 소멸 위기에 처한 고향을 살리는 데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쓰이는지 알려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고향 사랑 기부제는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자체에 1인당 연간 500만 원 이하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세액 공제 혜택과 함께 지역 특산품 등 답례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하지만 시행 초기여서 국민의 인지도가 낮다.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남 출향인 133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에서 고향 사랑 기부제를 “알고 있다”는 응답은 9.0%에 그쳤다. 열 명 중 한 명에도 못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