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버스운행 중단, 주민 불편 최소화해야
2023년 01월 11일(수) 00:05
광주·전남 지역에서 버스는 ‘서민의 발’ 역할을 톡톡히 한다. 광주시의 경우 2021년 기준 수송 분담률은 버스(26.2%), 택시(13.7%), 지하철(3.3%) 순으로 승용차(49.1%)를 제외하면 가장 대중적인 교통수단이다. 하지만 최근 연료비 급등과 이용객 감소에 따른 적자 운행으로 버스 운행이 잇따라 중단되면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광주시 광산구 평지·봉정 마을 주민들은 그제 광산구청 앞에서 운행 중단 중인 720-1번 마을버스 배차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버스를 운영하는 민간업체는 한 달 전 매년 6000만~8000만 원에 이르는 재정 적자와 한 명뿐인 운전원의 부재를 이유로 3개월간 휴업 신고를 한 상태이다. 버스 이용자도 코로나19를 전후해 하루 120명에서 절반 수준인 50~60명으로 줄어들었다.

광주시 남구 진월동 인근 주민 400여 명도 최근 나주 999번 버스의 노선을 증설해 달라는 민원을 광주시에 제기했다. 버스업체 또한 연료비 인상과 버스 이용객 감소로 인한 손실을 보전하려면 버스의 광주 구간 승강장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버스업체는 지자체에 도움을 요청하지만 쉽지 않다. 마을버스 운행 구간에 시내버스를 투입하기 어려운 데다 시내버스 노선이 포화 상태여서 섣부르게 재정 지원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목포에서는 시민단체가 운행 중단된 버스회사 대표를 보조금 법률 위반 혐의로 고발하기에 이르렀다.

여건이 어렵지만 지자체와 버스회사가 머리를 맞대고 버스 운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해법을 도출해야 한다. 버스회사는 지자체의 지원에만 의존하지 말고 먼저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자체도 ‘공익’ 측면에 최우선 가치를 두고 지원 방법을 찾아야 한다. 주민들이 더 이상 버스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