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시민역사관’ 건립 광주시가 지원해야
2022년 12월 15일(목) 00:05 가가
광주는 일제 강제 동원 규명 및 피해 보상 운동의 중심지라고 할 만하다. 양금덕 할머니를 중심으로 한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소송이 처음 시작된 곳이 광주지방법원이고, 미쓰비시자동차 등 전범 기업 불매 운동을 주도한 이들도 광주·전남에 터를 잡고 활동해 왔다. 1990년대 강제 동원 문제를 처음 이슈화한 고(故)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 광주유족회장의 활동 무대도 광주였고 관련 자료도 가장 많다.
(사)일제강제동원 시민모임이 가칭 ‘일제 강제동원 시민역사관’이란 이름으로 기념관 설립을 추진하는 이유다. 시민모임은 지난해부터 시민 성금으로 역사관 건립을 추진해 왔다. 일제 강제동원의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 후세에 전달하려면 기록을 모으고 전시하며 교육을 할 장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리 지역에는 실제로 귀한 자료들이 많다. 이금주 할머니가 생전에 수집한 소송 과정 등을 담은 기록은 물론 1000여 명이 넘는 피해자 진술서와 일기장, 영상물까지 다양하다. 1150여 건에 달하는 자료는 4년 전부터 국가기록원에서 디지털 작업을 하고 있는데 올해 말이면 마무리된다. 문제는 이런 귀한 자료를 돌려받더라도 보관하고 전시할 공간이 없다는 점이다.
시민모임은 역사관 건립을 위해 모금 캠페인을 준비했다가 행정안전부의 기부금품 모집 불가 통보에 중단한 상태다. 그제 광주시에 역사관 건립 제안서를 제출하고 직접 나서 줄 것을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일본에서 오랫동안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지원해 온 나고야소송지원회 일행은 이날 광주를 방문해 시민모임에 역사관 건립 기금 1000만 원을 쾌척하기도 했다.
법적 제약으로 민간 차원의 역사관 건립 기금 마련은 어려워진 만큼 이제는 광주시가 적극 나서 지원해야 한다. 명분은 충분하다. 강제 동원 피해 구제 운동의 메카에 역사관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법적 제약으로 민간 차원의 역사관 건립 기금 마련은 어려워진 만큼 이제는 광주시가 적극 나서 지원해야 한다. 명분은 충분하다. 강제 동원 피해 구제 운동의 메카에 역사관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