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투표 혼선 없도록 더욱 철저한 준비를
2022년 05월 23일(월) 00:05 가가
6·1 지방선거에서는 지난 대선 때처럼 코로나19 확진 유권자들의 투표에 혼선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신규 확진자가 이번 투표를 계기로 늘어나지 않도록 빈틈없는 방역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그제 0시 기준 재택 치료자는 16만 6937명으로 집계됐다. 확진자 중 18세 이하 비율이 20% 내외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투표권을 가진 확진자는 10만 명대 초반으로 추산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선거에서 별도의 코로나 확진자용 임시 기표소를 운영하지 않고 확진자들도 일반 유권자들처럼 정식 투표소에서 투표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신 확진자는 일반 유권자가 투표를 모두 마친 뒤에 투표가 가능하다. 다만 거동이 어려운 유권자는 임시 기표소에서 투표를 할 수 있고 이때에도 투표지가 담긴 운반 봉투를 정해진 운반함에 넣게 된다.
불과 두 달여 전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는 사전 투표 마지막 날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의 투표 용지가 투표함이 아닌 바구니와 쇼핑백, 종이 상자 등에 담겨 운반되는 이른바 ‘소쿠리 투표’ 사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부실 투표 논란이 증폭됐고, 결국 중앙선거관리위원장까지 교체됐다.
이번에는 확진자 투표 방식이 지난 대선 때와 달라진다고 하니 철저한 홍보와 사전 준비로 유권자들이 불편 없이 투표에 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투표를 계기로 잠잠해진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커지지 않도록 중앙선관위와 질병관리청 등은 긴밀한 협의를 통해 꼼꼼한 방역 조치를 취해야 한다. 무엇보다 가뜩이나 지방선거에 대한 관심이 낮은 상황에서 자칫 투표율 저하로 이어지는 빌미가 되지 않도록 만반의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선거에서 별도의 코로나 확진자용 임시 기표소를 운영하지 않고 확진자들도 일반 유권자들처럼 정식 투표소에서 투표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신 확진자는 일반 유권자가 투표를 모두 마친 뒤에 투표가 가능하다. 다만 거동이 어려운 유권자는 임시 기표소에서 투표를 할 수 있고 이때에도 투표지가 담긴 운반 봉투를 정해진 운반함에 넣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