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의 사유물 아니다
2020년 05월 12일(화) 00:00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다시 균열 조짐이 보이고 있다. 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의 ‘사유화 결의’ 논란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현대차를 중심으로 한 (주)광주글로벌모터스(GGM) 주주들은 며칠 전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노사상생발전 협정서 이행을 약속한 노동계의 입장을 신뢰한다”면서도 “GGM에 대한 외부 기관의 어떠한 경영 간섭도 있어서는 안 된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를 놓고 일각에선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마치 주주와 경영진의 사유물로 착각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외부 감시 없이 마음대로 하고 싶다면 그동안 투입된 광주시민의 세금을 모두 반납하라”는 격한 반응도 있다.

광주 지역 시민사회단체들도 GGM의 행태를 강력 비난하고 나섰다. 노동 존중·사회연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한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성명을 통해 “GGM 주주총회의 외부 기관 경영 간섭 배제 결의는 무엇보다 광주 시민을 대표하는 광주시와 지역사회를 외부로 치부했다는 점에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수많은 난관을 헤쳐 온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결코 좌초되어서는 안 된다. 시민모임이 이미 지적한 바 있지만 광주 사회를 마치 GGM사업에 부당하게 참견이나 하는 외부자로 규정하고 경영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결의한 것은 광주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다. GGM은 광주시가 1대 주주로 나서 공적 투자를 하고,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준해 정부 지원 등을 바탕으로 설립한 법인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