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농촌 생활환경 개선 위해 4차산업혁명 기술 접목 시급
2020년 04월 28일(화) 00:0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

농촌 거주자와 도시민 절반 이상은 농촌 생활환경에서 복지·의료 분야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10명 가운데 7명(70%)은 농촌 4차산업혁명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내용은 2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간한 ‘제4차산업혁명 시대의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에 담겼다.

연구원이 농촌 거주자 308명과 도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농촌 생활환경 개선 우선순위 1~2위는 ‘복지’와 ‘의료’로 나타났다.

복지를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농촌 거주자 34.9%·도시민 30%로 나타났고 ▲의료(농촌거주자 23%·도시민 26.8%) ▲정주생활(농촌거주자 16.7%·도시민 14.6%) 등이 뒤를 이었다.

또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4차산업혁명 기술과 연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촌 4차산업혁명 기술 도입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 도시민들은 ▲30분 내 구급차 도착(90.2%) ▲10분 내 소방차·경찰차 도착(89.6%) ▲기초적 응급장비 마련(85.8%) 등을 꼽았다. 농촌 거주자도 ▲30분 내 구급차 도착(93.7%) ▲10분 내 소방차·경찰차 도착(92.5%) ▲범죄예방 CCTV(91.0%) 등으로 답하며 ‘의료’와 ‘안전’ 부문에 대한 필요성을 들었다.

김연중 선임연구위원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보급, 도시와 농촌의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며 “이 모든 것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법, 제도가 사전에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