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 전략적 배치로 호남 정치력 강화를
2020년 04월 24일(금) 00:00
4·15 총선이 끝나면서 21대 국회에 입성하는 광주·전남 지역 국회의원들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6월에 개원하는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을 앞두고 어떤 의원들이 어떤 상임위원회에 배정될지가 관심사다. 상임위 배정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지역 현안 해결에 있어 상임위 소속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이 당선자들을 상대로 희망 상임위를 조사한 결과 일부 인기 상임위에만 몰린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낳고 있다. 광주 지역 당선자 8명 가운데 3명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2명은 국토교통위원회를 희망했다. 전남 지역 당선자의 희망 상임위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10명 중 6명) 한 곳에 몰려 있다.

이는 광주의 전략 분야 산업이 광산업과 인공지능 분야이며 전남의 주력 산업은 농림축산수산 분야라는 점에서 일견 당연해 보인다. 그렇지만 광주의 경우 아시아문화전당과 광주형일자리 등 핵심 현안 사업을 안착시켜야 할 중요한 기로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관련 상임위인 문화체육관광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에 지원한 당선자가 한 명도 없다는 점은 아쉬움을 남긴다.

상임위 구성에 있어 전략적 선택과 배치가 긴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지역 국회의원 당선자들의 정치력을 한데 모아 구심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역 국회의원 당선자 18명 가운데 13명이 초선인 만큼 구심점 마련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상임위 구성이 끝난 후인 7~8월께는 광주시·전남도당 지역 위원장도 선출해야 한다. 벌써부터 지역 위원장 선거가 3파전이 예상되는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전처럼 지역 정치권을 조율할 구심점이 없는 탓이 크다. 상임위 구성과 지역 위원장 선출은 호남 정치력 강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시험대가 될 것이다. 따라서 당선자들은 소통과 화합으로 뜻을 한데 모아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