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값 상승에 광주·전남 소 사육 53만마리 ‘역대 최대’
2020년 04월 21일(화) 00:00 가가
통계청 1분기 가축동향조사
올해 1분기 광주·전남지역 한·육우 사육 마릿수가 통계를 집계한 1983년 이래 최다를 기록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1일 기준 광주·전남지역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1년 전보다 4.2%(2만1500마리) 늘어난 53만3163마리로 집계됐다. 전국 사육 마릿수는 316만2100여 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증가했다.
이는 한·육우 사육 마릿수를 집계한 1983년 이래 최고로 높은 수치다.
사육 증가는 한우 가격이 오르면서 번식우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한우 가격은 2018년 12월∼2019년 2월 수컷 기준 600㎏당 551만4000원이었지만 2019년 12월∼2020년 2월에는 600㎏당 562만6000원으로 올랐다.
학교 급식 연기로 타격을 맞은 광주·전남지역 낙농가는 지난해보다 10가구 줄어든 459가구를 기록했지만 젖소 사육 마릿수는 400마리(1.3%) 증가한 3만1110마리를 나타냈다.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직격탄을 맞았던 돼지의 경우 사육 마릿수가 역대 최대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증가세는 주춤한 모습이다.
광주·전남지역 돼지 마릿수는 119만90마리로, 지난해보다 7만8000마리(7.0%) 늘었다. 전국 마릿수는 1120만8000마리로, 지난해보다 0.1%(9000마리) 증가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분기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1일 기준 광주·전남지역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1년 전보다 4.2%(2만1500마리) 늘어난 53만3163마리로 집계됐다. 전국 사육 마릿수는 316만2100여 마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증가했다.
사육 증가는 한우 가격이 오르면서 번식우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한우 가격은 2018년 12월∼2019년 2월 수컷 기준 600㎏당 551만4000원이었지만 2019년 12월∼2020년 2월에는 600㎏당 562만6000원으로 올랐다.
학교 급식 연기로 타격을 맞은 광주·전남지역 낙농가는 지난해보다 10가구 줄어든 459가구를 기록했지만 젖소 사육 마릿수는 400마리(1.3%) 증가한 3만1110마리를 나타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