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신규 공공일자리 1만2000개 제공
2020년 04월 08일(수) 19:15 가가
생활방역·민생안정 분야
643억원 투입…3~7개월 단기
643억원 투입…3~7개월 단기
광주시가 코로나19로 위협받는 서민 경제 지원을 위해 생활 방역, 민생안정 분야에서 신규로 공공일자리 1만2000여개를 제공한다. 3~7개월짜리 단기 일자리이긴 하지만, 코로나19로 심각한 생활고를 겪고 있는 서민에겐 ‘가뭄의 단비’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8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643억원을 투입해 23개 사업에 걸쳐 공공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1단계 생활 방역 일자리 사업 대상은 1000여명으로 44억원이 투입된다. 생활 방역(500명), 대중교통 시설 방역(180명), 열감지기 운영(30명), 생활 치료센터 지원(60명), 긴급생계비 신청 안내·접수를 돕는 민생경제 지킴이(227) 등 활동을 하게 된다. 오는 6월까지 최소 3개월간 일하고 최저 임금(시간당 8590원)을 받는다.
2단계로 민생안정 18개 분야에서는 599억원을 투입해 1만1395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도시 환경 정비 등 시가지 환경 개선,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지킴이, 아동센터 지원 등으로 기존에 추진되는 사업과 중복된 경우 추가로 일자리를 늘린다. 6∼12월 중 진행되며, 사업에 따라 3∼7개월간 운영된다. 최저 임금을 기본으로 하되 업무 강도 등에 따라 급여는 차등 지원된다.
시는 또 여행업·관광숙박업·관광운송업·공연업 등 특별고용 지원 업종, 제조·중소기업이 신규 인력을 채용하면 고용주에게 인건비 50%를 지원하는 사업도 2000명 규모로 추진한다.
시는 공공일자리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국비와 기존 시 예산 조정으로 충당하고 부족하면 지방채 발행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사업별 세부 내용은 시 홈페이지에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 배너를 설치해 안내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특히 이번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 직속으로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를 설치해 사업 전반에 대한 지원·안내·홍보를 전담토록 하고, 채용은 공개모집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민일자리 사업 참여 자격은 공모 접수일 현재 30일 이상 광주시에 주민등록된 광주시민이어야 하며, 기타 자격 요건은 해당 사업 공모시 광주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 여러분의 헌신적 노력 덕분에 광주시는 지난 3월 8일 이후 한달째 지역감염 사례가 없고, 해외 입국자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코로나19가 몰고 온 경제적 후폭풍이 너무도 거세다.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시민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민생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1단계 생활 방역 일자리 사업 대상은 1000여명으로 44억원이 투입된다. 생활 방역(500명), 대중교통 시설 방역(180명), 열감지기 운영(30명), 생활 치료센터 지원(60명), 긴급생계비 신청 안내·접수를 돕는 민생경제 지킴이(227) 등 활동을 하게 된다. 오는 6월까지 최소 3개월간 일하고 최저 임금(시간당 8590원)을 받는다.
시는 공공일자리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국비와 기존 시 예산 조정으로 충당하고 부족하면 지방채 발행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사업별 세부 내용은 시 홈페이지에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 배너를 설치해 안내할 예정이다.
광주시는 특히 이번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조인철 문화경제부시장 직속으로 ‘시민 공공일자리 지원센터’를 설치해 사업 전반에 대한 지원·안내·홍보를 전담토록 하고, 채용은 공개모집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민일자리 사업 참여 자격은 공모 접수일 현재 30일 이상 광주시에 주민등록된 광주시민이어야 하며, 기타 자격 요건은 해당 사업 공모시 광주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민 여러분의 헌신적 노력 덕분에 광주시는 지난 3월 8일 이후 한달째 지역감염 사례가 없고, 해외 입국자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코로나19가 몰고 온 경제적 후폭풍이 너무도 거세다.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시민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민생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