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시장 “군공항 이전 논의하자” 무안군수에 만남 제안
2019년 11월 19일(화) 04:50
무안 범대위 광주시 항의 방문
지역정치권 與총선공약 채택 촉구

무안군의회와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가 18일 오후 광주시청을 방문, 이용섭 광주시장에게 군공항 이전 중단을 촉구하는 서한문을 전달한 뒤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이용섭 광주시장이 18일 광주군공항 이전과 관련해 김산 무안군수에게 직접 만나 대화하자고 제안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군공항 이전사업을 더불어민주당의 내년 총선 공약으로 채택하고, 당과 정부가 책임감을 갖고 교착상태에 놓인 군공항 이전의 물꼬를 터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시는 이날 오후 입장문을 내어 “이용섭 시장과 김산 무안군수, 무안군 범군민 군공항이전반대대책위에 대화를 위한 면담을 공식 제안한다. 시간과 장소는 무안군측 결정에 따르겠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군공항 이전 후보지로 거론되는 무안지역사회 관계자 항의 방문을 받은 직후 이런 입장문을 냈다.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 대책위원회(범대위)와 무안군의회 광주 군 공항 무안군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는 이날 오후 광주시청을 항의 방문했다. 범대위는 광주시청 앞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광주 군공항 이전과 관련해 광주시가 이전후보지로 무안군을 기정사실화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에 무안군민들은 분노를 참을 수 없다”며 “광주시는 겉으로는 무안 외 후보 지역도 있다면서 속으로는 다른 지역을 염두에 두지 않는 표리부동한 행태를 보인다”고 비판했다.

범대위는 “상생이라는 명분으로 9만 무안군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이전 계획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며 “진정한 상생을 원한다면 유치를 원하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범대위는 시청 접견실에서 이 시장을 만나 성명서를 전달했다. 이 시장은 비공개 면담을 제의했지만 범대위는 “자칫 협의하는 모습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거부하고 돌아섰다.

이에 앞서, 이용빈 더불어민주당 광산갑 지역위원장은 이날 오전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총선 공약 채택과 함께 예비후보자들을 중심으로 군 공항 이전사업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이 위원장은 “국방부는 국정과제인 공항 이전을 적극적으로 완수하고 강력한 지원을 근거로 사업이 탄력받도록 군공항이전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은 수년째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 군 공항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광주 군 공항 이전은 군 공항 이전 건의(광주시)→이전타당성 검토(국방부)→예비 이전후보지 선정(국방부)→이전후보지 선정(이전후보지 선정위)→주민투표/유치신청(이전후보지 단체장)→이전부지 선정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광주는 2014년 이전 건의서를 제출하고, 2016년 군 공항 이전 타당성 평가(적정통보)를 받았지만 국방부는 다음 단계인 예비 이전후보지 선정을 미루고 있다.

국방부는 “작전성 검토를 거쳐 무안군, 해남군을 이전 적합지로 정했으나, 두 자치단체가 예비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한 사전 단계인 국방부 주관의 협의 절차(공청회·설명회)를 거부하고 있어 현 상태로는 예비후보지를 선정하기 어렵다”며 머뭇거리고 있다.

광주시는 군공항 이전과 관계없이 광주 민간공항을 2021년까지 무안공항에 통합시키겠다고 약속하고, 전남도와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이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