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미래 신산업 발굴 나서야
2019년 08월 23일(금) 04:50 가가
빛그린산단 진입로·낙포부두 리뉴얼 등 정부 예타 통과


광주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현장 실사를 나온 현대자동차 실무진들이 개발업체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관계자에게 산단 개발 현황과 완성차 공장 부지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광주일보 자료사진>
광주·전남 현안 사업들 상당수가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됐다.
그동안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발목이 잡혀 차일피일 미뤄졌던 사업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이거나 조사 대상에 올라있는 굵직한 프로젝트들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지역 발전을 견인할 미래 먹거리 사업 발굴에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광주형일자리 자동차공장이 들어설 광주빛그린산단 광주방면 진입도로 개설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올 들어 모두 3개의 대형 현안 사업 시행이 확정됐다.
전남도의 경우 광양항 낙포부두 리뉴얼 사업과 해양경찰 서부정비창 구축 사업이 기획재정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를 통과하면서 올 들어 모두 5개의 대형 현안 사업 시행이 확정됐다.
하지만 전남지역 대형 프로젝트 중 예타가 진행중인 사업은 경전선(광주 송정~순천) 전철화 사업(1조7055억)과 여수 경도 해양관광단지 진입도로 개설사업(1156억) 2개 뿐이다. 광주는 전남과 공동 추진 중인 경전선 전철화 사업을 제외하면 예타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아예 없다.
전남도가 핵심 현안으로 꼽는 국립심뇌혈관 질환센터(3500억)는 관련 법 개정이 미뤄지면서 예타 신청조차 못한 상태고 해상풍력사업과 관련, 지원부두와 배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2180억)도 제 4차 항만기본계획 반영에 초점을 맞추는 시기라 예타 신청까지는 갈 길이 멀다.
국립난대수목원 조성(1800억원) 사업은 공모 절차를 밟고 있으며 광주~완도(2단계) 고속도로(1조513억), 광주~고흥 고속도로(2조 9000억), 완도~고흥 고속도로(9008억) 사업도 고속도로 건설계획과 국가도로망 종합계획에 반영돼야 예타 신청을 바라볼 수 있다.
이대로라면 당분간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굵직한 지역 프로젝트가 없는 것 아니냐는 위기 의식도 감지된다. 전남도 안팎에서는 이같은 점을 고려해 미래 먹거리 산업을 발굴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부가 비수도권 대규모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평가 기준을 완화키로 한 점에 주목, 경제 논리에 밀려 상대적으로 낙후된 광주·전남 지역 산업 기반을 확충하는 데 총력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미래 신산업을 계속 찾아내지 못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뒤쳐지고 말 것”이라며 “지금까지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지역을 먹여 살릴 대형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그동안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발목이 잡혀 차일피일 미뤄졌던 사업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광주형일자리 자동차공장이 들어설 광주빛그린산단 광주방면 진입도로 개설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올 들어 모두 3개의 대형 현안 사업 시행이 확정됐다.
전남도의 경우 광양항 낙포부두 리뉴얼 사업과 해양경찰 서부정비창 구축 사업이 기획재정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를 통과하면서 올 들어 모두 5개의 대형 현안 사업 시행이 확정됐다.
국립난대수목원 조성(1800억원) 사업은 공모 절차를 밟고 있으며 광주~완도(2단계) 고속도로(1조513억), 광주~고흥 고속도로(2조 9000억), 완도~고흥 고속도로(9008억) 사업도 고속도로 건설계획과 국가도로망 종합계획에 반영돼야 예타 신청을 바라볼 수 있다.
이대로라면 당분간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굵직한 지역 프로젝트가 없는 것 아니냐는 위기 의식도 감지된다. 전남도 안팎에서는 이같은 점을 고려해 미래 먹거리 산업을 발굴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부가 비수도권 대규모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평가 기준을 완화키로 한 점에 주목, 경제 논리에 밀려 상대적으로 낙후된 광주·전남 지역 산업 기반을 확충하는 데 총력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미래 신산업을 계속 찾아내지 못하면 4차 산업혁명시대에 뒤쳐지고 말 것”이라며 “지금까지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지역을 먹여 살릴 대형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