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끝산자락 가을 수채화 속을 걷다
2011년 11월 21일(월) 00:00 가가
<40> 땅끝 천년숲 옛길 도솔봉~미황사
달마산 아래 진도 앞바다 올망졸망 섬들 정겹고
도솔봉 기암괴석 지나 숲길 걸으며 행복한 3시간
달마산 아래 진도 앞바다 올망졸망 섬들 정겹고
도솔봉 기암괴석 지나 숲길 걸으며 행복한 3시간


도솔봉에서 내려다 본 남해바다. 해남군 송지면 마봉리 뒤로 남해 바다가 보이고, 그 뒤편으로 진도군이 바다를 따라 길게 펼쳐져 있다. /김진수기자 jeans@kwangju.co.kr
겨울 초입인데도 하늘은 마냥 푸르고 높다. 남해바다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해풍이 달마산 정상 봉우리로 마구 들이닥친다. 달마산 정상의 기암괴석 위로 펼쳐진 깃털 구름이 바람에 이리저리 몸을 흩날리며 갖가지 형상들을 만들어내는 게 장관이다. 흰 물감을 푸른색 도화지에 풀어놓고 붓으로 살짝 터치해 놓은 듯한 구름이 이 봉우리에서 저 봉우리로 옮겨다니며 한 폭의 멋진 수채화를 만들어내는 듯 하다.
도솔암에서 미황사로 가는 길은 해남 달마산의 6부 능선쯤을 따라 걷는 길이다. 해남 땅끝에서 미황사와 대흥사, 강진 다산초당에 이르는 총 60km 구간의 ‘땅끝 천년 숲 옛길’의 일부 구간이다.
도솔암∼미황사 구간은 8km에 2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는데, 큰 오르막이 없는 완만한 산책 길이다.
도솔암과 도솔봉 정상에서는 서해와 남해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5월에는 달마산이 진달래로 가득하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 주민들은 “꽃 향기에 취하고 서남해안 절경에 탄성을 지르고 싶으면 5월에 도솔봉을 찾아보라”고 조언했다.
도솔암으로 가는 진입로는 폭 3m의 넓은 임도로, 숲 길이라기 부르기에는 적절치 않다. 예전에는 폭 1m도 채 되지 않는 오솔길이었지만, 국유림 관리사무소가 임도를 내면서 볼썽사나운 길이 됐다. 다행히 주민들과 환경단체 등의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임도 공사는 300여m 정도에 그쳤다.
산을 깎아 넓게 길을 낸 임도 자체가 눈에 거슬리지만, 시선을 좌 우측으로 돌리면 눈은 호사스러움을 만끽하게 된다.
길 좌측으로 송지면 마봉리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 곳곳에서 논 두렁을 태우는 연기가 마을을 감싸고, 그 뒤로는 진도 앞바다가 드넓게 펼쳐진다. 바다 사이사이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있다.
과장하면 베트남 하롱베이를 옮겨놓은 듯 하다. 길 우측으로는 도솔봉의 절경이 눈을 즐겁게 해준다. 웅장한 기암괴석의 봉우리들이 파수꾼처럼 먼 남해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다. 임도가 끝나면 숲 속 오솔길이다. 임도가 끝날 무렵에 두 갈래 길로 나눠진다. 오른쪽으로는 도솔암, 곧바로 걸으면 미황사로 가는 길이다.
도솔암으로 발길을 옮겨봤다. 완만한 길을 벗어나면 가파른 길이 나온다. 도솔암으로 향하는 정상 부근은 완만하던 산 아래와 달리 깎아내린 듯한 바위 봉우리 등으로 인해 오르기 쉽지 않다. 10여 분 정도 오르니 바위 봉우리 위에 제비집처럼 지어진 암자가 눈에 들어온다.
어쩜 저렇게 높은 바위 벼랑 틈에 암자를 세웠나 싶을 정도로 고개가 절로 저어진다. 도솔암에서 바라본 전경은 10분 전 도솔암 오르기 전 6부 능선쯤에서 본 광경과는 판이하다. 정면으로 땅끝이 보이고, 우측으로는 진도, 좌측으로는 완도가 보인다. 가파른 바위를 조심스럽게 내려와 다시 미황사 방향으로 발길을 돌린다. 미황사 가는 길은 편백나무와 굴 참·갈 참나무 숲을 지나고, 돌작밭인 너덜을 지나 이어진다. 숲 길이라 볼거리는 없지만, 마음이 왠지 차분해지는 길이다.
수많은 백성들이 불공을 위해 이 길을 걸었을 것이고, 속세를 뒤로하고 구도자의 길을 들어선 불자들도 자신을 돌아보며 이 길을 걸었을 것이다. 지금은 템플스테이 참여자들이 산책길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숲 길이 끝날 즈음 승려의 사리가 모셔진 부도밭이 나온다. 부도 탑 숫자와 각양각색의 모양이 미황사의 역사를 말해주는 듯 하다.
미황사는 보기보다 볼거리가 많은 사찰이다. 보물 947호로 지정돼 있는 대웅보전은 특이하다. 외부는 단층이 없지만, 내부는 단층이 돼 있고, 대웅전 주춧돌에는 게와 거북이 상이 조각돼 있다. 천정에는 인도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래서 미황사는 불교의 북방유입설이 아닌 남방 불교 유입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사찰이기도 하다.
/최권일기자 cki@kwangju.co.kr
도솔암∼미황사 구간은 8km에 2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는데, 큰 오르막이 없는 완만한 산책 길이다.
도솔암으로 가는 진입로는 폭 3m의 넓은 임도로, 숲 길이라기 부르기에는 적절치 않다. 예전에는 폭 1m도 채 되지 않는 오솔길이었지만, 국유림 관리사무소가 임도를 내면서 볼썽사나운 길이 됐다. 다행히 주민들과 환경단체 등의 여론의 반대에 부딪혀 임도 공사는 300여m 정도에 그쳤다.
길 좌측으로 송지면 마봉리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 곳곳에서 논 두렁을 태우는 연기가 마을을 감싸고, 그 뒤로는 진도 앞바다가 드넓게 펼쳐진다. 바다 사이사이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있다.
과장하면 베트남 하롱베이를 옮겨놓은 듯 하다. 길 우측으로는 도솔봉의 절경이 눈을 즐겁게 해준다. 웅장한 기암괴석의 봉우리들이 파수꾼처럼 먼 남해바다를 내려다보고 있다. 임도가 끝나면 숲 속 오솔길이다. 임도가 끝날 무렵에 두 갈래 길로 나눠진다. 오른쪽으로는 도솔암, 곧바로 걸으면 미황사로 가는 길이다.
도솔암으로 발길을 옮겨봤다. 완만한 길을 벗어나면 가파른 길이 나온다. 도솔암으로 향하는 정상 부근은 완만하던 산 아래와 달리 깎아내린 듯한 바위 봉우리 등으로 인해 오르기 쉽지 않다. 10여 분 정도 오르니 바위 봉우리 위에 제비집처럼 지어진 암자가 눈에 들어온다.
어쩜 저렇게 높은 바위 벼랑 틈에 암자를 세웠나 싶을 정도로 고개가 절로 저어진다. 도솔암에서 바라본 전경은 10분 전 도솔암 오르기 전 6부 능선쯤에서 본 광경과는 판이하다. 정면으로 땅끝이 보이고, 우측으로는 진도, 좌측으로는 완도가 보인다. 가파른 바위를 조심스럽게 내려와 다시 미황사 방향으로 발길을 돌린다. 미황사 가는 길은 편백나무와 굴 참·갈 참나무 숲을 지나고, 돌작밭인 너덜을 지나 이어진다. 숲 길이라 볼거리는 없지만, 마음이 왠지 차분해지는 길이다.
수많은 백성들이 불공을 위해 이 길을 걸었을 것이고, 속세를 뒤로하고 구도자의 길을 들어선 불자들도 자신을 돌아보며 이 길을 걸었을 것이다. 지금은 템플스테이 참여자들이 산책길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숲 길이 끝날 즈음 승려의 사리가 모셔진 부도밭이 나온다. 부도 탑 숫자와 각양각색의 모양이 미황사의 역사를 말해주는 듯 하다.
미황사는 보기보다 볼거리가 많은 사찰이다. 보물 947호로 지정돼 있는 대웅보전은 특이하다. 외부는 단층이 없지만, 내부는 단층이 돼 있고, 대웅전 주춧돌에는 게와 거북이 상이 조각돼 있다. 천정에는 인도문자가 새겨져 있다. 그래서 미황사는 불교의 북방유입설이 아닌 남방 불교 유입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사찰이기도 하다.
/최권일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