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구 중앙근린공원 ‘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 되나
2025년 08월 05일(화) 21:20 가가
‘공원 녹지법’ 국회 본회의 통과
시, 행정절차 본격화·비전 선포
‘공원도시 광주’ 브랜드 향상 기대
시, 행정절차 본격화·비전 선포
‘공원도시 광주’ 브랜드 향상 기대
광주시가 광주시 서구 중앙근린공원을 대한민국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그동안 발목을 잡아오던 면적 기준을 완화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 4일 국회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5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중앙근린공원을 국가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행정절차를 본격화하고 비전선포식 개최를 논의 중이다.
국가도시공원은 도시에 위치한 공원 가운데 국가적 기념사업 추진, 자연경관, 역사·문화 유산 보전을 위해 국가에서 지정하는 공원이다. 국가도시공원 설치와 관리 등 일부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한다.
국가도시공원은 크게 4가지 사항을 충족해야 해 지정요건이 까다로웠다. 공원 부지면적이 300만㎡ 이상이어야 하고, 공원 전체 부지 소유권이 지자체에 있어야 한다. 8명 이상 전담조직을 구성해야 하며,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조례도 제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2016년 국가도시공원에 대한 법률이 통과됐지만, 우리나라에서 지정된 국가도시공원은 없다.
이번 개정안은 국가도시공원 면적 기준을 기존 300만㎡에서 100만㎡로 대폭 완화해 광주시가 수혜 지자체가 됐다. 서구 금호동·화정동·풍암동·남구 주월동 일대에 걸친 중앙공원은 비공원 부지를 제외한 면적이 280여만㎡으로 기존 법률의 요건을 충족할 수 없었다.
광주시는 가장 큰 걸림돌이던 면적 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나머지 조건 충족에 나섰다.
공원 전담인력 확보는 물론 관련 조례를 제정하기 위한 절차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중앙근린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공원도시 광주’ 브랜드 향상과 관광,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광주시는 무등산국립공원과 무등산권국가지질공원, 국가도시공원 등 3대 국가공원을 보유한 유일한 도시로 위상이 강화된다.
윤춘성 광주시 공원기획팀장은 “중앙근린공원을 제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해 ‘공원도시 광주’를 완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공원 관리에 대한 국가 지원은 물론 광주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켜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공원은 도시공원 일몰제(20년간 개발하지 않으면 도시계획이 취소되는 제도)에 따라 2020년 7월 공원구역에서 해제돼 민간공원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그동안 발목을 잡아오던 면적 기준을 완화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 4일 국회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국가도시공원은 도시에 위치한 공원 가운데 국가적 기념사업 추진, 자연경관, 역사·문화 유산 보전을 위해 국가에서 지정하는 공원이다. 국가도시공원 설치와 관리 등 일부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한다.
국가도시공원은 크게 4가지 사항을 충족해야 해 지정요건이 까다로웠다. 공원 부지면적이 300만㎡ 이상이어야 하고, 공원 전체 부지 소유권이 지자체에 있어야 한다. 8명 이상 전담조직을 구성해야 하며,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조례도 제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2016년 국가도시공원에 대한 법률이 통과됐지만, 우리나라에서 지정된 국가도시공원은 없다.
공원 전담인력 확보는 물론 관련 조례를 제정하기 위한 절차에도 착수할 예정이다.
‘중앙근린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공원도시 광주’ 브랜드 향상과 관광,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광주시는 무등산국립공원과 무등산권국가지질공원, 국가도시공원 등 3대 국가공원을 보유한 유일한 도시로 위상이 강화된다.
윤춘성 광주시 공원기획팀장은 “중앙근린공원을 제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해 ‘공원도시 광주’를 완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공원 관리에 대한 국가 지원은 물론 광주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켜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공원은 도시공원 일몰제(20년간 개발하지 않으면 도시계획이 취소되는 제도)에 따라 2020년 7월 공원구역에서 해제돼 민간공원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