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역사·문화를 품은 중앙공원…가장 유리한 조건 갖췄다
2025년 08월 05일(화) 20:00 가가
광주 서구 중앙근린공원 1호 국가 도시공원 추진
모든 부지 지자체 소유·면적 충분
풍암호수공원 시민 활용성 좋고
상무대, 5·18의 아픈 역사 기려
폭염 일상화된 도심 기온도 낮춰
국가공원 지정 땐 브랜드가치 상승
무등산 지질고원과 함께 국제적 위상
모든 부지 지자체 소유·면적 충분
풍암호수공원 시민 활용성 좋고
상무대, 5·18의 아픈 역사 기려
폭염 일상화된 도심 기온도 낮춰
국가공원 지정 땐 브랜드가치 상승
무등산 지질고원과 함께 국제적 위상


5일 광주시 서구 풍암동 중앙근린공원 1지구내 마을숲(1번) 조성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광주시는 중앙근린공원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 받기 위해 행정절차를 진행중이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시 서구 ‘중앙근린공원’이 ‘대한민국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자연과 역사, 문화를 품은 중앙근린공원이 도시공원지정에 나선 타 지자체의 공원보다 유리한 조건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타 지자체보다 뛰어난 경쟁력 = 광주시 서구 중앙근린공원(공원 면적 279만 6446㎡)이 전국 최초로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는 데 손색이 없다는 게 광주시의 분석이다.
전국에서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도전하는 대표적인 지자체는 광주시 이외에도 인천, 대구, 부산 등이 있다.
이들 지자체도 지속적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원하고 있다. 인천의 경우 남동구 소래 습지 생태공원, 대구는 달서구 두류공원, 부산은 사하구 을숙도 생태공원과 맥도생태공원 등이 대상이다.
그동안 인천과 부산의 경우 면적조건은 충족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충족해야할 소유권에 문제가 있었다. 이는 곧 광주 중앙근린공원의 강점으로 작용한다.
중앙근린공원 부지는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라 2026년 12월까지 모든 부지가 지자체 소유가 된다.
부산시와 인천시가 각각 낙동강하구 을숙도 생태공원(304만㎥)·부산강서구 맥도생태공원(258만㎥), 인천소래습지(6.65㎢)을 국가공원지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유지가 다수 포함돼 소유권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은(165만㎡)로 면적 요건이 완화됨에 따라 강력한 제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의 경쟁상대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광주 중앙근린공원의 경우 자연을 품은 생태공원과 함께 5·18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공간까지 품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지라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를 품고 있어 시민들의 활용성도 좋고 과거 군사교육 시설인 상무대가 있었던 만큼, 1980년 5·18 당시 계엄군에 짓밟혔던 아픈 역사를 기리는 역사공원도 포함하고 있는 점도 돋보인다.
다만 대한민국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시와 시민사회의 한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국가도시공원 1호 지정되면 = 중앙근린공원이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광주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후 온난화로 여름철 폭염이 일상화된 광주시의 도심 온도를 낮추는데도 한 몫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중앙근린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당장 국비로 공원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자연환경과 녹지 인프라가 제공된다.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권국가지질공원에 이어 국가도시공원까지 지정되면 3대 국가공원을 보유하게 되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는 최초 도시가 되고, 명실상부한 공원도시로서의 국제적 위상과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아파트 공화국’이라고 불릴 만큼 전국에서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아 여름철이면 열기가 갇힌 채 빠져 나가지 못하는 ‘열돔 현상’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상황에서 민간공원과 재정공원 24개 공원을 조성중에 있는 상황에서 2027년 각 공원이 완성되면 광주시민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이 현재 6.3㎡에서 12.3㎡로 약 2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경제적 부가가치도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원에서 국가공원박람회와 페스티벌 등 다양한 문화행사 등이 개최될 경우 문화적 혜택은 물론 이용객 증가로 주변 지역 상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다.
광주시는 높아진 도시브랜드 가치를 활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중앙공원은 풍암호수를 중심으로 어울림숲 등 6개 숲의 테마로 조성되며, 각 테마에 맞게 무등산 조망데크, 아시아청년문화숲, 아시아청년언덕, 도심형 캠핑장, 수변파빌리온, 물놀이장, 장미원 등 대규모 공원이 조성 중이다.
또, 도보권 내 지역 주민들이 일상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5900㎡ ~1만9500㎡ 소형 및 중형 규모의 11개의 마을 숲도 만들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자연과 역사, 문화를 품은 중앙근린공원이 도시공원지정에 나선 타 지자체의 공원보다 유리한 조건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국가도시공원 지정에 도전하는 대표적인 지자체는 광주시 이외에도 인천, 대구, 부산 등이 있다.
이들 지자체도 지속적으로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원하고 있다. 인천의 경우 남동구 소래 습지 생태공원, 대구는 달서구 두류공원, 부산은 사하구 을숙도 생태공원과 맥도생태공원 등이 대상이다.
중앙근린공원 부지는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라 2026년 12월까지 모든 부지가 지자체 소유가 된다.
다만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은(165만㎡)로 면적 요건이 완화됨에 따라 강력한 제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의 경쟁상대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광주 중앙근린공원의 경우 자연을 품은 생태공원과 함께 5·18민주화운동 등 역사적 공간까지 품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지라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를 품고 있어 시민들의 활용성도 좋고 과거 군사교육 시설인 상무대가 있었던 만큼, 1980년 5·18 당시 계엄군에 짓밟혔던 아픈 역사를 기리는 역사공원도 포함하고 있는 점도 돋보인다.
다만 대한민국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시와 시민사회의 한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국가도시공원 1호 지정되면 = 중앙근린공원이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광주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후 온난화로 여름철 폭염이 일상화된 광주시의 도심 온도를 낮추는데도 한 몫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중앙근린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당장 국비로 공원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들에게 보다 나은 자연환경과 녹지 인프라가 제공된다.
무등산국립공원, 무등산권국가지질공원에 이어 국가도시공원까지 지정되면 3대 국가공원을 보유하게 되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는 최초 도시가 되고, 명실상부한 공원도시로서의 국제적 위상과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아파트 공화국’이라고 불릴 만큼 전국에서 아파트 비중이 가장 높아 여름철이면 열기가 갇힌 채 빠져 나가지 못하는 ‘열돔 현상’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상황에서 민간공원과 재정공원 24개 공원을 조성중에 있는 상황에서 2027년 각 공원이 완성되면 광주시민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이 현재 6.3㎡에서 12.3㎡로 약 2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경제적 부가가치도 창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원에서 국가공원박람회와 페스티벌 등 다양한 문화행사 등이 개최될 경우 문화적 혜택은 물론 이용객 증가로 주변 지역 상권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다.
광주시는 높아진 도시브랜드 가치를 활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중앙공원은 풍암호수를 중심으로 어울림숲 등 6개 숲의 테마로 조성되며, 각 테마에 맞게 무등산 조망데크, 아시아청년문화숲, 아시아청년언덕, 도심형 캠핑장, 수변파빌리온, 물놀이장, 장미원 등 대규모 공원이 조성 중이다.
또, 도보권 내 지역 주민들이 일상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5900㎡ ~1만9500㎡ 소형 및 중형 규모의 11개의 마을 숲도 만들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