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에너지 수도 조성’ 탄력 받는다
2025년 08월 03일(일) 20:05 가가
정부, ‘차세대 전력망 사업’ 대상지 선택…‘RE100 산단’ 유력
김영록 지사 “2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구축하겠다”
김영록 지사 “2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구축하겠다”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에너지의 흐름을 바꾸다: 전남에서 시작하는 에너지 분권’ 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해상풍력, 태양광, 전라남도, RE100 등을 상징하는 점등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정부가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1단계 사업인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 대상지로 전남을 선택하면서 전남도의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 조성을 향한 발걸음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의 에너지 전환 프로젝트 2단계 사업 격인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단 조성’ 대상지로도 전남이 유력시 되면서 재생에너지 거점도시로의 도약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3일 전남도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전남을 사업대상지로 확정한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인접한 산업단지, 공항 등지에 공급하고 남은 전력은 저장해 필요시 사용가능한 소규모 전력망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이는 전남지역의 부족한 전력 계통 문제를 극복하는 등 전남의 재생에너지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차세대 전력망 구축사업은 정부가 2000억원의 예산을 이미 확보한 데다 단기 계획인만큼 사업 효과를 빠르게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남은 이 사업을 발판으로 23GW(기가와트)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구축하고 인구 50만의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와 ‘에너지 기본소득 시대’ 개막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와 함께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새 역사를 전남도에서 시작할 것”이라며 에너지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성장시켜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발표한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은 정부가 앞서 발표한 RE100 산단 조성과 함께 ‘2050년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한 축이다. 정부는 전력망 혁신 계획을 단기, 중기, 장기 등 3단계로 구분해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 전력망 구축사업은 단기, RE100 산단 조성은 중기, 에너지 고속도로는 장기 계획에 해당한다.
또 정부가 사업 대상지 발표와 산단 구조 개선, 인재 육성 등 다방면에 걸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발표는 산업구조 개편을 비롯한 전남도의 재도약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전남의 철강·석유화학 산단을 마이크로 그리드(소규모 독립전력망) 산단으로 조성하고 대학 캠퍼스와 스마트팜, 공항, 군부대 등에도 마이크로 그리드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또 한국에너지공대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K-그리드 인재 창업 밸리’ 조성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 계획도 내놨다.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도 주목된다. 전남도가 선보인 ‘주민 참여형 이익 공유 모델’을 정부가 직접 추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주민 참여형 이익 공유는 주민이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의 주체로 참여해 발전 사업 과정에서의 갈등을 없애고 전기 판매 수익을 발전사와 나누는 전남도만의 지역 소멸 대책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1일 ‘전남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에 대해 “전남도가 ‘2050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중심축으로 우뚝 서는 역사적 순간”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이번 정책을 발판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를 향한 걸음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며 “2030년까지 총 23GW 규모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 50만의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를 조성하겠다. 또 도민과 에너지 발전 수익을 공유하는 2030년 연간 1조 원의 에너지 기본소득 시대 개막에 더욱 매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남은 이 사업을 발판으로 23GW(기가와트)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구축하고 인구 50만의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와 ‘에너지 기본소득 시대’ 개막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은 정부가 앞서 발표한 RE100 산단 조성과 함께 ‘2050년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한 축이다. 정부는 전력망 혁신 계획을 단기, 중기, 장기 등 3단계로 구분해 추진하고 있다. 차세대 전력망 구축사업은 단기, RE100 산단 조성은 중기, 에너지 고속도로는 장기 계획에 해당한다.
또 정부가 사업 대상지 발표와 산단 구조 개선, 인재 육성 등 다방면에 걸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정부의 발표는 산업구조 개편을 비롯한 전남도의 재도약을 의미한다는 해석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전남의 철강·석유화학 산단을 마이크로 그리드(소규모 독립전력망) 산단으로 조성하고 대학 캠퍼스와 스마트팜, 공항, 군부대 등에도 마이크로 그리드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또 한국에너지공대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K-그리드 인재 창업 밸리’ 조성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인재 양성 계획도 내놨다.
재생에너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도 주목된다. 전남도가 선보인 ‘주민 참여형 이익 공유 모델’을 정부가 직접 추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주민 참여형 이익 공유는 주민이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의 주체로 참여해 발전 사업 과정에서의 갈등을 없애고 전기 판매 수익을 발전사와 나누는 전남도만의 지역 소멸 대책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1일 ‘전남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에 대해 “전남도가 ‘2050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중심축으로 우뚝 서는 역사적 순간”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이번 정책을 발판으로 명실상부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를 향한 걸음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며 “2030년까지 총 23GW 규모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인구 50만의 ‘서남권 에너지 혁신성장벨트’를 조성하겠다. 또 도민과 에너지 발전 수익을 공유하는 2030년 연간 1조 원의 에너지 기본소득 시대 개막에 더욱 매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