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떠나는 1만 청년 붙잡을 대책 시급하다
2024년 09월 26일(목) 00:00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필두로 한 다양한 지역균형발전 정책들이 십 수년 전부터 추진되면서 효과를 거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국가 정책이나 기업들의 투자 방향이 수도권 일극 체제를 형성하면서 지방의 수도권으로의 역외 유출은 다양한 방면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청년들의 유출은 지방의 몰락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해당 지자체는 물론 정부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더욱이 광주·전남지역 청년들의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의 탈출은 영남권이나 다른 지역보다 심각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광주와 전남지역에서는 매년 1만 명 가량의 청년들이 수도권행을 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광주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20세~39세 청년들은 올해 6월 기준 2만 4606명이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에는 5996명, 2021년 5268명, 2022년 5346명, 2023년 5072명, 올해 6월까지 2924명이다. 이 같은 유출추세는 전남도 매한가지여서 평균적으로 매년 광주와 전남에서 각 5000명 정도가 수도권행에 몸을 싣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 청년들이 고향을 버리고 수도권으로 떠나는 첫 번째 이유는 일자리 때문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다양한 스펙을 쌓아도 지역에서는 일자리가 적은 탓에 기회가 많은 수도권을 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서울과 지방의 임금 격차는 물론 다양한 문화 향유, 삶의 질 등과 관련된 지수에서도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지역 청년과 인재들이 지역에 정착토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만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한 청년 맞춤형 교육·문화 설계가 시급하다. 또한 변화하는 교육 환경에 맞춘 서비스 제공과 청년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지원책도 마련해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