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수험생 70%, 지역의대 졸업 후 지역서 활동 희망
2024년 08월 11일(일) 19:40 가가
입시학원 설문…수도권 수험생은 7%만 지역 의대·지역 생활 원해
광주,전남·북 수험생, 전남대 의대 선호…수도권 이탈도 여전할 듯
광주,전남·북 수험생, 전남대 의대 선호…수도권 이탈도 여전할 듯
광주, 전남·북 지역 등 비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의대 진학을 원하는 수험생 상당수는 지역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의사 활동을 하길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지역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의대 증원분을 비수도권에 집중배정한 정책적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비수도권 의대 진학 희망자 대부분은 수도권 의대를 염두에 두고 있어 중복합격에 따른 수도권 이탈은 여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종로학원은 올해 7월 31일~8월 8일 의대 진학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17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우선 비수도권 학생의 의대 선호도를 보면 지역 소재 의대 지역인재전형을 선호한다는 이들이 63.4%, 수도권 의대를 선호한다는 수험생이 34.4%로 나타났다.
실제 광주·전남북 지역 의과대학 4곳의 2025학년도 지역인재 전형 선발 인원은 총정원 634명 중 64.3%인 443명에 달한다.
전남대는 정원 163명 가운데 130명(79.8%)을, 조선대는 정원 150명 중 100명(66.7%)을 광주와 전남북 지역에서 선발한다. 전북대는 정원 171명 중 111명(64.9%)을, 원광대는 정원 150명 중 102명(68%)을 호남권과 전북지역에서 뽑는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학생의 경우에도 지역 의대 수시모집 지원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70.5%로 많았고, 지원 의사가 없다는 응답은 29.5%였다.
하지만 졸업 후 일하고 싶은 지역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지역 학생들은 지역 의대 졸업 후 향후 의사 활동을 하길 원하는 지역으로 68.3%가 지방권을 선택했고, 28.8%는 서울권, 2.9%는 경인권을 꼽았다.
이에 비해 서울·경인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를 졸업하더라도 63.8%가 서울권, 29.1%가 경인권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지방권을 선호한다는 응답률은 7.1%에 불과했다.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향후 교육의 질이 지금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응답자의 59.6%(하락 40.8%+매우 하락 18.8%),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35.4%였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이 의대 모집정원이 10% 이상 늘어난 대학에 대해 평가를 강화하기로 한 것과 관련, 이들 대학과 수험생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된다는 의견이 53.0%(매우 우려 16.0%+우려 37.0%), 영향력 없다는 응답이 23.5%였다.
권역별 의대 선호도는 서울·경인권 학생의 경우 서울대 44.9%, 연세대 18.2%, 성균관대 7.4%, 가톨릭대 4.6%, 고려대 4.0% 순이었다.
호남권 학생의 경우 전남대 37.0%, 전북대 18.5%, 서울대 16.7%, 연세대 16.7% 순이었다. 이들이 의대에 중복 합격하면 수도권 의대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방권 학생들은 지역인재전형 선호도가 높지만 대학별로 보면 지방권 학생 대부분 수도권 의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라며 “수도권·지방권 중복 합격에 따른 이동 현상이 앞으로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연합뉴스
정부가 지역 필수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의대 증원분을 비수도권에 집중배정한 정책적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하지만 비수도권 의대 진학 희망자 대부분은 수도권 의대를 염두에 두고 있어 중복합격에 따른 수도권 이탈은 여전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비수도권 학생의 의대 선호도를 보면 지역 소재 의대 지역인재전형을 선호한다는 이들이 63.4%, 수도권 의대를 선호한다는 수험생이 34.4%로 나타났다.
전남대는 정원 163명 가운데 130명(79.8%)을, 조선대는 정원 150명 중 100명(66.7%)을 광주와 전남북 지역에서 선발한다. 전북대는 정원 171명 중 111명(64.9%)을, 원광대는 정원 150명 중 102명(68%)을 호남권과 전북지역에서 뽑는다.
하지만 졸업 후 일하고 싶은 지역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지역 학생들은 지역 의대 졸업 후 향후 의사 활동을 하길 원하는 지역으로 68.3%가 지방권을 선택했고, 28.8%는 서울권, 2.9%는 경인권을 꼽았다.
이에 비해 서울·경인권 학생들은 지역 의대를 졸업하더라도 63.8%가 서울권, 29.1%가 경인권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지방권을 선호한다는 응답률은 7.1%에 불과했다.
의대 모집정원 확대로 향후 교육의 질이 지금보다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응답자의 59.6%(하락 40.8%+매우 하락 18.8%),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생각한 수험생은 35.4%였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이 의대 모집정원이 10% 이상 늘어난 대학에 대해 평가를 강화하기로 한 것과 관련, 이들 대학과 수험생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된다는 의견이 53.0%(매우 우려 16.0%+우려 37.0%), 영향력 없다는 응답이 23.5%였다.
권역별 의대 선호도는 서울·경인권 학생의 경우 서울대 44.9%, 연세대 18.2%, 성균관대 7.4%, 가톨릭대 4.6%, 고려대 4.0% 순이었다.
호남권 학생의 경우 전남대 37.0%, 전북대 18.5%, 서울대 16.7%, 연세대 16.7% 순이었다. 이들이 의대에 중복 합격하면 수도권 의대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방권 학생들은 지역인재전형 선호도가 높지만 대학별로 보면 지방권 학생 대부분 수도권 의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라며 “수도권·지방권 중복 합격에 따른 이동 현상이 앞으로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분석했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