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5·18 암매장 증언…행불 의혹 풀릴까
2023년 03월 03일(금) 00:00
5·18 당시 광주에 계엄군으로 투입돼 암매장을 직접 지시·실행했거나 매장 사실을 들었다고 증언한 공수부대 출신 인사들이 70여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가 엊그제 공개한 ‘2022년 하반기 조사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위는 5·18 당시 광주에 투입된 공수부대원 2200여 명과 접촉을 시도해 812명을 직접 면담했다. 이 가운데 암매장과 관련해 유의미한 진술을 한 공수부대 출신 인사는 76명에 달했다.

매장을 직접 지시했거나 실행했다는 증언이 11명, 매장을 목격했다는 증언은 18명, 매장 사실을 들었다는 증언은 47명이었다. 특히 옛 광주교도소의 경우 아홉 명이 매장을 지시·실행했다고, 13명은 매장을 목격했다고, 35명은 매장 사실을 들었다고 각각 진술했다.

이들 증언을 바탕으로 암매장 의혹을 규명하고 행방불명자 소재를 찾기 위한 추가 유해 발굴도 진행됐다. 5·18과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하반기 3공수여단 출신 세 명의 증언을 토대로 진행된 발굴 작업 중 옛 광주교도소 건너편 야산에서 유해 한 구를 발견했다. 조사위는 지난해 말 기준 모두 290기의 유해를 발굴하거나 이관받아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고 있다.

암매장에 대한 5·18 당시 계엄군들의 증언은 전두환 신군부 세력에 의해 40년이 넘도록 철저하게 은폐됐던 행방불명 의혹 규명에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다. 진실을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그동안 인정받지 못한 신고자를 포함한 행방불명자 242명에 대한 전수조사와 옛 광주교도소·전남대·주남마을 등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조사위와 정부, 광주시는 행방불명자 찾기에 더욱 박차를 가해 국가 폭력에 가족을 잃고 고통 속에 살아온 가족들의 한을 풀어 줘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