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연구원, 단체장 따라 오락가락해서야
2023년 02월 27일(월) 02:30
광주시와 전남도가 또다시 광주전남연구원의 분리를 추진하면서 반대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시도 상생을 위해 통합된 지 6년여 만에 재분리하는 데 대해 연구원 노조는 물론 지역 사회에서도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민선 8기 들어 광주전남연구원의 운영 체제 문제를 처음 제기한 것은 강기정 광주시장이었다. 지난해 10월 광주시의회 답변 과정에서 용역 과제 및 연구 개발 부족을 지적하며 “통합 운영이 맞는 방향인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밝힌 것이다. 전남도의원들도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잇따라 분리를 주장했다. 시도는 다음 달 중 분리를 위한 사전 절차로 공청회를 열 계획이다.

이와 관련 엊그제 퇴임한 박재영 광주전남연구원장은 “통합 상황에서는 연구원 규모가 커지고 상생 등 폭넓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도리어 규모 확대를 제안했다. 광주전남연구원이 위치한 나주시와 연구원 내부의 반발도 크다. 최근 연구원 노동조합의 설문조사에서는 87.7%의 조합원이 “분리 반대” 입장을 보였다.

독립성을 유지해야 할 지역 발전의 ‘싱크 탱크’(think tank)가 시도지사 입맛에 따라 분리와 통합을 거듭하는 데 대한 비판도 거세다. 당초 전남발전연구원에서 1995년 광주전남연구원으로 확대됐다가 2007년 광주와 전남으로 분리됐고, 2015년에는 시도 상생 사업으로 다시 통합되는 등 곡절을 겪었기 때문이다.

광주·전남은 사실상 하나의 경제권이자 상호 보완적 관계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통합 필요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연구원을 분리할 경우 시도의 단순 용역 기관으로 전락해 지역 이기주의를 부추길 우려가 적지 않다. 특히 광주전남연구원은 박사 37명, 출연금 70억 원 규모로 단독 운영하는 충남연구원(47명·80억 원)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다. 시도는 연구원의 분리보다 역량 강화 및 운영 효율성 제고를 통해 지역 발전과 미래 비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