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석 감소…변방의 호남 정치 복원하려면
2023년 02월 16일(목) 00:10
지역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호남 정치가 점차 변방으로 밀려나고 있다. 주민 수 급감이 유권자 및 국회의원 의석수 감소로 이어지면서 호남의 정치적 영향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960년 호남 인구는 594만 명으로 총인구(2498만 명)의 23.8%를 차지, 519만 명(20.7%)이었던 수도권보다 많았다. 영남(803만 명)은 32.1%, 충청(389만 명) 15.5% 등이었다. 하지만 올해 1월 말 현재 호남 인구는 501만 명에 불과, 총인구(5143만 명)의 9.7%에 그쳤다. 반면에 수도권 인구는 259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섰고 영남은 1265만 명(24.6%), 충청은 554만 명(10.7%)으로 늘었다. 60여 년 새 호남 인구는 줄어든 반면 수도권은 급팽창했고, 충청은 호남을 추월한 것이다.

인구수 감소는 정치적 영향력 약화로 이어졌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39석이었던 호남 국회의원 지역구는 현재 28석으로 11석이나 줄었다. 대조적으로 수도권은 같은 기간 82석에서 121석으로 늘었다. 더욱이 내년 22대 총선에서 호남의 지역구는 두 석이나 줄어들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상황은 역대 정부의 경부축 중심 불균형 성장 전략으로 경제적 기반이 취약해진 호남 지역민들이 수도권 등으로 일자리를 찾아 대거 이동하면서 빚어졌다. 국회의원 수가 줄면 지역 현안과 관련한 입법·예산 확보는 물론 지역 여론을 중앙에 제대로 전달하기 어렵다. 정치적 변방으로 밀려나 주변화되는 셈이다.

지역 정치권 역시 그동안 민주당 독점 구도 속에 낙후 극복에 한계를 보인 데다 비전 확보와 신진 육성에 소홀하면서 입지가 취약해지고 있다. 위기를 극복하려면 호남 정치권이 소통과 결집을 통해 분권과 균형 발전의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 통합의 정치로 호남권 시도가 각자도생이 아닌 상생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