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행정통합 추석 이슈 부상
2020년 09월 28일(월) 00:00 가가
소모적 논쟁보다 통합 위한 신뢰 구축 필요
이용섭 광주시장이 광주·전남 행정 통합과 관련 ‘시대 정신과 대세’라며 그 필요성을 재차 역설했다.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위원장 역시 통합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추석 연휴 이후 김영록 전남지사와의 만남이 예정돼 있어 통합 논의와 함께 군공항 이전 등 핵심 현안에 대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이 시장은 25일 오후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주최 ‘국가 균형 발전과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에 참석, 축사에서 “생활권이 비슷한 지자체가 통합하는 것은 시대 정신과 대세”라며 행정 통합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전체 면적 11.8%의 수도권 인구가 전국의 절반을 넘는다. 광주 146만, 전남 186만으로 거대 수도권과 어떻게 경쟁하겠느냐”며 “22개 전남 지자체 중 18개가 30년 내 사라지는 인구 소멸 지역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낙후를 해결하려면 (광주와 전남이) 하나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구와 경북은 2022년 통합해 광역단체장을 한 사람만 뽑는다. 우리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지자체장을 해보니 중복 투자와 불필요한 경쟁이 엄청나다”고 설명했다.
영상으로 축사를 보낸 김 지사는 국가균형발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지사는 “인구, 기업, 일자리, 의료, 교육, 연구개발 모든 영역에서 수도권에 편중됐다. 지방은 인구가 심각하게 줄어들고 소멸 위기에 있다”며 “위기에 맞서 민주당이 국가 균형 발전을 강력히 추진하는 데 크게 환영하고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 균형 발전의 완성을 위해 과감하고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행정수도 완성과 공공기관 2차 이전은 함께 추진돼 실질적인 도움이 돼야 한다. 소멸 위기를 걱정해야 하는 지방을 위해 소멸 위기 지역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재정 분권이 이뤄지고 농협, 수협도 농도인 전남도로 와야 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김승남 전남도당 위원장은 축사에서 “장기적으로는 반드시 행정 통합을 하면서 그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과 김 지사는 추석 연휴 이후 만나 행정 통합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이 제안한 시도지사와 시도당 위원장이 참석하는 ‘4자 연석회의’도 조만간 열릴 것으로 보인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이 시장과 김 지사는 추석 연휴 이후 만나 행정 통합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이 제안한 시도지사와 시도당 위원장이 참석하는 ‘4자 연석회의’도 조만간 열릴 것으로 보인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