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자영업자 58조 수혈…‘코로나 도산’ 막는다
2020년 03월 25일(수) 00:00 가가
정부 2차 비상경제회의
증시안정펀드 10.7조 투입
단기자금시장에 7조 지원
지원 대상 대기업까지 확대
증시안정펀드 10.7조 투입
단기자금시장에 7조 지원
지원 대상 대기업까지 확대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극심한 불안감을 겪는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해 100조원에 달하는 기급자금을 투입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진행된 2차 비상경제회의 결과물이다.
정부는 지난 19일 제1차 회의에서 코로나19 피해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중기·소상공인과 취약계층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50조원+α를 발표한 것에 이어 2차 회의에서는 지원규모를 확대해 100조원+α로 늘리기로 했다. 지원 대상도 당초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했다.
자영업자와 기업에 대한 대출·보증 공급 규모는 총 58조원이다.
1차 회의에서 발표한 29조원에 더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재단 등 정책 금융기관을 총동원해 29조원을 추가 공급한다.
또 채권시장을 안정화를 위해 기업이 채권시장에서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조성키로 한 채권시장안정펀드 10조원을 즉시 가동하기로 했다.
이와 동시에 10조원을 신속하게 추가 조성해 총 규모를 20조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2008년 글로벌 위기 당시보다 2배 수준으로 규모를 확대한 만큼 시장 불안심리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은 위원장의 설명이다.
당장 이날 오후 출자 금융회사로 구성된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3조원 규모의 1차 캐피탈콜을 진행했다. 이를 토대로 4월 초부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채권매입을 시작한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지난번에 발표한 신용보증기금의 회사채 발행지원 프로그램 프라이머리 CBO 6조7000억원을 신속 지원키로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의 여파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가능성에 대비해 지원대상도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한다.
원활한 회사채 차환발행을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산은 등 ㎡정책금융의 우선 매입을 통해 4조 100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2차 대책을 통해 신규로 지원되는 규모는 1차 대책에서 발표한 프라이머리 CBO 지원 규모를 제외해도 24조1000억원이 된다. 회사채에 프라이머리 CBO를 지원하게 됨에 따라 1, 2차를 합치면 30조 8000억원이 회사채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자금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증권사에 대해 증권금융 대출 등을 통해 5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책금융기관이 2조원 규모로 우량 기업어음과 전자단기사채를 매입하도록 해 총 7조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서도 5대 금융지주와 업권별 주요 금융회사 등과 함께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고, 개별 주식이 아닌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운용한다는 구상이다.
1차 캐피탈 콜 규모는 약 3조원 내외로, 4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밖에 금융회사의 투자 장애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출자 금융회사에 대한 건전성규제 부담 완화, 투자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세제지원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관련 금융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진행된 2차 비상경제회의 결과물이다.
자영업자와 기업에 대한 대출·보증 공급 규모는 총 58조원이다.
1차 회의에서 발표한 29조원에 더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신용보증재단 등 정책 금융기관을 총동원해 29조원을 추가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10조원을 신속하게 추가 조성해 총 규모를 20조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당장 이날 오후 출자 금융회사로 구성된 리스크관리위원회에서 3조원 규모의 1차 캐피탈콜을 진행했다. 이를 토대로 4월 초부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채권매입을 시작한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지난번에 발표한 신용보증기금의 회사채 발행지원 프로그램 프라이머리 CBO 6조7000억원을 신속 지원키로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충격의 여파가 실물경제 전반에 미칠 가능성에 대비해 지원대상도 중소·중견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한다.
원활한 회사채 차환발행을 위해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산은 등 ㎡정책금융의 우선 매입을 통해 4조 100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2차 대책을 통해 신규로 지원되는 규모는 1차 대책에서 발표한 프라이머리 CBO 지원 규모를 제외해도 24조1000억원이 된다. 회사채에 프라이머리 CBO를 지원하게 됨에 따라 1, 2차를 합치면 30조 8000억원이 회사채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자금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증권사에 대해 증권금융 대출 등을 통해 5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한다.
아울러 정책금융기관이 2조원 규모로 우량 기업어음과 전자단기사채를 매입하도록 해 총 7조원 규모의 지원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서도 5대 금융지주와 업권별 주요 금융회사 등과 함께 10조원 규모의 증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하고, 개별 주식이 아닌 시장 전체를 대표하는 지수상품에 투자·운용한다는 구상이다.
1차 캐피탈 콜 규모는 약 3조원 내외로, 4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개시할 계획이다.
이밖에 금융회사의 투자 장애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출자 금융회사에 대한 건전성규제 부담 완화, 투자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세제지원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