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오스카 캠페인…열정으로 메꾼 게릴라전”
2020년 02월 20일(목) 00:00
송강호 “최고 예술가들과 호흡하고 대화…내가 작아지는 느낌”
이정은 “영화 잘 찍으면 할리우드 안 가도 다 알아봐 주더라”

19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기생충’ 기자회견에서 곽신애 바른손 대표(오른쪽부터),봉준호 감독, 배우 송강호, 박소담, 이정은, 장혜진이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영화가 긴 생명력을 가지고 1년 가까이 세계 이곳저곳을 다니다가 마침내 또 여기 다시 오게 돼서 기쁩니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기생충’ 오스카상 주역들이 아카데미 시상식 이후 국내에서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 19일 오전 11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공식 기자회견에서다.

이날 회견에는 봉 감독 이외에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박소담, 이정은, 장혜진, 박명훈 등 배우들과 제작자인 곽신애 바른손 E&A 대표, 한진원 작가, 이하준 미술감독, 양진모 편집 감독 등이 참석했다.

봉 감독은 이날 오스카 캠페인 뒷이야기를 들려줬다.

봉 감독은 “캠페인 당시 북미 배급사 네온은 설립된 지 얼마 안 된 중소 배급사였고, 우리가 처한 상황은 마치 ‘게릴라전’ 같았다”고 했다.

이어 “거대 스튜디오나 넷플릭스 이런 회사에 비하면 훨씬 못 미치는 예산으로, 열정으로 뛰었다. 그 말은 저와 강호 선배님이 코피를 흘릴 일들이 많았다는 의미다. 인터뷰만 600차례 이상, 관객과의 대화도 100회 이상 했었다”고 험한 여정을 떠올렸다.

봉 감독은 한 외신 인터뷰에서 아카데미 시상식을 ‘로컬’이라고 말한 게 아카데미를 도발하기 위해 계획한 것이었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제가 처음 캠페인을 하는 와중에 무슨 도발씩이나 하겠냐”며 웃었다.

봉 감독은 전작들과 달리 ‘기생충’이 세계적인 조명을 받은 이유에 대해 “이번 이야기는 동시대 이웃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이야기인 데다, 뛰어난 앙상블의 배우들이 실감 나게 표현한, 현실에 기반한 분위기의 영화여서 더 폭발력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닐까 짐작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아침에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이 편지를 보내왔다”고 전한 뒤 “저로선 영광이었다. 마지막 문장에 ‘그동안 고생했을 테니 쉬어라. 다만 조금만 쉬어라. 나도 그렇고 다들 차기작 기다리니까 조금만 쉬고 다시 일하라’고 편지를 보내주셨다. 감사하고 기뻤다”고 말했다.

봉 감독은 ‘기생충’ HBO 드라마 제작과 관련, “‘기생충’이 애초 가진 주제 의식과 동시대 빈부격차에 대한 이야기를 블랙코미디와 범죄 드라마 형식으로 더 깊게 파고들어 갈 것 같다”고 귀띔했다.

봉 감독은 “HBO ‘체르노빌’처럼 5~6편으로 완성도 높은 밀도의 TV 시리즈 만들려고 한다. 최근 캐스팅 기사로 틸다 스윈턴, 마크 러팔로가 언급됐는데, 공식적인 사항은 아니다. 저랑 애덤 매케이 감독이 이야기를 나누고 있고, 방향과 구조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다. 올해 5월 ‘설국열차’가 TV 시리즈로 방영되는데, 제작에 들어가 5년 만에 방송되는 거 보면 ‘기생충’도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내다봤다.

봉 감독은 CNN 기자가 ‘기생충’이 한국 사회 어두운 면을 묘사하는데도 한국 관객들이 열광하는 이유를 묻자 “자주 들었던 질문”이라며 담담하게 말을 이어갔다.

“제 영화는 우스꽝스럽고 코미디 적인 면도 있지만, 빈부격차의 현대사회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씁쓸하고 쓰라린 면도 있다. 그걸 1㎝라도 피하고 싶은 마음은 없었다. 처음부터 엔딩에 이르기까지 그런 부분을 정면 돌파했다. 관객이 불편하고 싫어할까 봐 그런 두려움에 영화에 당의정을 입혀서 달콤한 장식으로 영화를 끌고 가고 싶진 않았다. 최대한 우리가 사는 시대에 대해 솔직하고 그리려고 했던 게, 대중적인 측면에서 위험해 보일 순 있어도 이 영화가 택할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했다.”

봉 감독은 ‘기생충’ 흑백판을 내놓은 데 대해 “고전 영화나 클래식 영화에 대한 동경 소위 말하는 로망이 있어서 만들었다”면서 “흑백판을 통해 배우들의 미세한 표정이나 연기 디테일, 뉘앙스를 훨씬 더 많이 느낄 수 있다. 알록달록한 컬러가 사라지니까 배우들의 표정과 눈빛에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관람 팁을 줬다.

봉 감독은 ‘기생충’ 수상 이후 지자체에서 그의 동상이나 생가 복원 작업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그런 이야기는 제가 죽은 후에 해주셨으면 좋겠다. 이 모든 것이 지나가리라 생각하면서 그런 기사들은 넘겼다”며 웃었다.

“‘기생충’을 통해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관객들에게 뛰어난 한국 영화를 선보이고 돌아와서 기쁘다.”

‘기생충’ 오스카상 4관왕의 주역 중 한 명인 송강호는 환한 웃음을 지으며 이런 소감을 밝혔다.

송강호는 “지난 6개월간 최고 예술가들과 호흡하고 대화를 나누고, 작품을 함께 봤다. 내가 아니라 타인들이 얼마나 위대한지 알아가는 과정이었다. 저 자신이 작아지는 느낌이었고, 그만큼 위대한 예술가를 통해 많은 것을 느꼈다”고 벅찬 감동을 전했다.

송강호는 ‘기생충’이 4관왕에 오를 때 소감을 묻자 “시상식장에서 봉준호 감독 바로 옆에 앉아있었는데, TV 화면을 보면 제가 굉장히 자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칸영화제 수상 때 제가 너무 과도하게 (축하를) 하는 바람에 감독님 갈비뼈에 실금이 갔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번에는 얼굴 위주로, 어떤 상은 뺨을 때리고, 어떤 상은 목덜미를 잡기도 했다”고 답해, 웃음을 끌어냈다.

다른 배우들도 수상 당시 감격 등을 들려줬다.

이선균은 “너무 벅찼다. 4개 부문 상을 받고 보니까 아카데미가 큰 선을 넘은 것 같았다. 편견 없이 우리 영화를 좋아하고 응원해주신 아카데미 회원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다.

장혜진은 할리우드에서 출연 제의가 온다면 “‘오브 코스, 와이 낫~ 아임 레디~’(of course, why not? I‘m ready)라고 얘기해주고 싶다”고 했다.

이정은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젊은 층이 경제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기생충’은 동시대적 문제를 재미있고, 심도 있게 표현했다. 선과 악은 없는데 누군가는 누구한테 가해자가 되고 피해를 주고… 이런 관계가 우리 인간군상과 흡사해 놀라는 것 같고, 예상할 수 없는 스토리 덕분에 호응을 얻은 것 같다”는 견해를 밝혔다.

/연합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