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알루미늄 제조공장 조성사업 본격화
2019년 11월 08일(금) 04:50 가가
환경 관리 감독 강화 등 주민들 요구 조건 수용키로
광양지역 주민반발로 착공이 지연됐던 알루미늄 제조공장 조성 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이유로 반대했던 주민들이 환경관리감독 강화 약속 등을 받아들여 공장 건립을 수용했다.
광양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5일 광양시·광양알루미늄(주), 세풍 주민대표와 함께 광양알루미늄 투자를 찬성한다는 데 합의했다.
합의서에 따르면 용해주조공정 운영 시 한국의 법령과 제도에 따라 운영하고, 국내 환경법과 기준에 따라 필요한 집진시설 및 TMS, 환경오염방지장치 등을 설치한다.
또 원료는 알루미늄 잉곳과 가공 후 부산물(스크랩)을 이용하며 환경오염 유발 재료는 사용하지 않고 연료는 LNG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이와 함께 광양경제자유구역청은 광양알루미늄의 용해주조설비 운영 시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확산지역 예측모델링 용역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역 주민들에 공표하기로 했다.
또 환경관련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고 세풍주민으로 구성된 환경감시단 운영에 협조한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세풍지역주민은 광양알루미늄의 판재, 호일을 생산하는 용해주조 공정에 대한 투자를 수용하며 합법적인 공장건설과 운영에 적극 협력하고 건실한 광양지역 기업으로 성장 하도록 협조할 예정이다.
김갑섭 광양경제자유구역청장은 “광양알루미늄 주민동의 과정에서 다양한 이견으로 갈등이 있었지만, 합의를 계기로 알루미늄 공장이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지역 내 건실한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이유로 반대했던 주민들이 환경관리감독 강화 약속 등을 받아들여 공장 건립을 수용했다.
광양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5일 광양시·광양알루미늄(주), 세풍 주민대표와 함께 광양알루미늄 투자를 찬성한다는 데 합의했다.
또 원료는 알루미늄 잉곳과 가공 후 부산물(스크랩)을 이용하며 환경오염 유발 재료는 사용하지 않고 연료는 LNG 천연가스를 사용한다.
이와 함께 광양경제자유구역청은 광양알루미늄의 용해주조설비 운영 시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따른 확산지역 예측모델링 용역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역 주민들에 공표하기로 했다.
세풍지역주민은 광양알루미늄의 판재, 호일을 생산하는 용해주조 공정에 대한 투자를 수용하며 합법적인 공장건설과 운영에 적극 협력하고 건실한 광양지역 기업으로 성장 하도록 협조할 예정이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