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공대, 학부 400명·대학원 600명 ‘소수 정예’
2018년 09월 10일(월) 00:00
부지 총 120만㎡ 규모 … 광주시·전남도 합의 추천지로
2022년 3월 개교 추진 … 정부·지자체에 재정지원 요구
한전 중간 용역 결과 보고서
한전이 중간 용역 보고를 통해 한전 공대를 ‘세계 최고의 에너지 특화 클러스터 중심 대학’을 목표로 오는 2022년 3월 개교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전은 구체적 재정 투입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정부와 지자체의 재정 지원을 요구, 아쉬움을 남겼다.

9일 광주일보가 입수한 ‘한전공대 설립 중간 용역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한전 공대는 연구·교육·산업을 연결하는 핵심 주체로서 에너지 분야에서 20년 내(2040년) 국내 최고, 30년 내(2050년) 세계 최고의 공대로 조성된다. 한전 공대는 소수 정예 대학을 모토로 대학원은 6개 에너지 전공에 100명씩 600명, 학부 400명 등 총 1000명+α(외국인 학생) 규모로 설립된다. 우수 교수진 확보를 위해 과기대 3배 이상의 연봉(4억원+α)을 보장하고 국내 대학 2배 수준의 연구 시드 머니(10억+α)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융합·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창업 슈퍼 엘리트를 육성한다는 목표로 학생 대 교수 비율을 10대 1로 구성하고 학비는 물론 기숙사도 무료로 운영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여기에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소 및 대학과의 공동 연구 기회 등도 제공한다. 총장은 노벨상 수준의 국제적 수상 경력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십과 네트워크를 갖춘 인사를 영입, 학교 운영의 전권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보고서는 특히, 한전 공대를 캠퍼스 40만m², 산학연 클러스터 40만m² , 연구시설 40만m² 등 총 120만m² 규모로 설립해 에너지 연구 분야의 세계적 랜드마크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도 밝혔다. 아울러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인프라 집적·공유로 클러스터 구성원의 동반 혁신은 물론 에너지 밸리의 성장을 이끄는 코어 플랫폼 역할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한전 공대의 입지는 조기 개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속한 인허가가 가능한 부지(국·공유지)가 적합하며, 산·학·연 원스톱 플랫폼 구축과 정주 여건 등 글로벌 수준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부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를 위해 광주시·전남도 간 부지에 대한 합의 추천이 필요하다는 입장과 함께 차선책으로 전문가를 통한 입지 선정안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한전 공대의 성공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한전공대 설립지원위원회’ 구성을 통해 정책적 지원과 함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3분기 연속 당기 순손실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정부의 전력 기금 활용과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광주시와 전남도 차원의 한전 공대 설립 인프라 지원은 물론 재정적 지원까지 요구, 논란이 예상된다. 또, 올해 내에 용역을 마무리한 뒤 내년 상반기 입지 선정 절차를 진행하고 캠퍼스 설립에 나서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한편, 한전은 비수익성 사업에 대한 주주 가치 훼손 지적과 지역 대학들의 우려, 교육·기재·국토부의 정책적 지원 등을 외부 환경 부분에서의 난제로 꼽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용역 결과는 일단 한전공대에 대한 구체적 그림을 제시한 것 같다”며 “이제 한전과 정부, 정치권과 지자체가 연말까지 한전 공대의 성공적 출범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임동욱 기자 tuim@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