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전문대학 교육의 정체성 한강희 지음
2021년 04월 09일(금) 21:00 가가
고등교육의 두 가지 화두는 바로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이다. 일선현장에서 기획, 심의, 평가를 직접 경험한 대학 교수가 전문대학 교육의 정체성을 화두로 한 책을 발간했다. 한강희 전남도립대학교 교육복지학부 교수가 펴낸 ‘대한민국 전문대학 교육의 정체성: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은 23년간 전문대학 교수로 활동하면서 경험한 다양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저자는 ‘21세기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학 활성화 방안’에서 수월성, 다양성,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교육산업사회에 대비하는 전략을 강조한다. 교육 고객화, 학습 중심, 네트워크화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전문대학의 화두로 제시되는 평생직업교육이라는 브랜드 네이밍을 직접 기획한 ‘평생직업교육대학 운영 모델 및 역할 연구’에서는 평생직업교육대학의 운영 모델, 역할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다룬다. 또한 평생직업교육대학 선정 기준 및 방법, 평가 지표, 개발 및 성적관리와 질 관리 방안을 설계했다.
‘4차산업혁명시대 고등직업교육의 역할체계 규정과 혁신 방향’은 고등직업교육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재구조화를 통해 고등직업교육 핵심 현안에 관한 접근과 모색이 실질적인 정책으로 입화해야 함을 역설한다.
양한주 동양미래대 명예교수는 “전문대학에 관한 교육내용, 대학경영, 정책개발에 이르기까지 학내 보직 및 국가 차원의 다양한 정책보고서이기에 향후 전문대학 교육정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했다. 한편 한 교수는 기자 출신으로 대학발전기획단 기획위원, 한국전문대학교육30년사 집필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한국학술정보·1만80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최근 전문대학의 화두로 제시되는 평생직업교육이라는 브랜드 네이밍을 직접 기획한 ‘평생직업교육대학 운영 모델 및 역할 연구’에서는 평생직업교육대학의 운영 모델, 역할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을 다룬다. 또한 평생직업교육대학 선정 기준 및 방법, 평가 지표, 개발 및 성적관리와 질 관리 방안을 설계했다.
<한국학술정보·1만8000원>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